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존재와 시간』에 나타난 반복(Wiederholung)과 『반복』에 나타난 Kierkegaard의 반복(Gjentagelsen)의 의미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the Meaning of Wiederholung in Being and Time and Kierkegaard’s repetition(Gjentagelsen) in Repetition
발행기관
한국기독교철학회
저자명
김완종(wan-jong Kim)
간행물 정보
『기독교철학』제41호, 179~19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하이데거의 반복(Wiederholung)의 의미와 키에르케고어의 반복(Gjentagelsen)의 의미를 고찰한다. 하이데거가 『존재와 시간』에서 Wiederholung를 언급하고 키에르케고어가 『반복』에서 사용한 반복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모색할 것이다. 논자는 『반복』에 나타난 반복의 의미에 중점을 두고 하이데거의 반복의 의미를 대조한다. 이를 위해 『존재와 시간』와 『반복』을 중심으로 반복이 어떠한 맥락에서 하이데거와 키에르케고어가 사용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논자는 『존재와 시간』와 『반복』에서 나타난 반복이 상호 가족 유사성과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드러낼 것이다. 하이데거는 역사의 맥락에서 반복을 키에르케고어는 사랑의 관점에서 반복의 의미를 사용했다는 점을 해명될 것이다. 이러한 반복은 하이데거의 반복, 플라톤의 상기(recollection), 헤겔의 매개(mediation) 개념과 유사한 기능을 하지만 키에르케고어의 반복의 의미가 어떻게 이들의 반복의 의미와 차이점이 있고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고찰한다. 그 결과 상기는 과거의 방향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지만 키에르케고의 반복의 의미는 미래를 향하여 개방되어 있고 과거 쪽으로 향하여 반복되는 것이 아니라 앞을 향한 반복이며 상기는 과거에 얽매여 사람을 불행하게 만들지만 키에르케고의 반복의 개념은 이와는 차별적 의미를 지닌다는 것을 드러낼 것이다. 키에르케고어의 반복의 의미는 인간의 실존 상황에 있는 행위자(마치 이삭을 희생제물로 드리는 아브라함의 사건처럼)에게 미래 지향적, 타자(하나님) 지향적, 수용적 반복이 개방된 가능성을 제공해 준다. 키에르케고어의 반복은 단순한 반복이 아니라 새로운 의미를 산출하는 역설적 반복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Heidegger’s repetition (Wiederholung) and Kierkegaard’s repetition (Gjentagelsen). It will explore the meaning of repetition as Heidegger refers to Wiederholung in Being and Time and as Kierkegaard uses it in Repetition. The paper will focus on the meaning of repetition as it appears in Repetition and contrast Heidegger’s meaning of repetition. To do so, the paper will specifically examine the contexts in which Heidegger and Kierkegaard use repetition, focusing on Being and Time and Repetition. In doing so, the paper will show that repetition in Being and Time and Repetition have both famil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t will be shown that Heidegger uses repetition in the context of history, while Kierkegaard uses it in the context of love. This repetition functions similarly to Heidegger’s repetition, Plato’s recollection, and Hegel’s notion of mediation, but how Kierkegaard’s meaning of repetition differs from and has implications for their meanings of repetition will be examined. As a result, we will see that while recollection is focused in the direction of the past, Kierkegaard’s meaning of repetition is open to the future and is not a repetition directed toward the past, but a repetition directed forward, and while recollection is bound to the past and makes people unhappy, Kierkegaard’s concept of repetition has a different meaning. Kierkegaard’s meaning of repetition opens up the possibility of future-oriented, other-oriented, and receptive repetition for agent in human existential situations (as in the case of Abraham offering Isaac as a sacrifice). Kierkegaard’s repetition is not just repetition, but a paradoxical repetition that

목차

1. 『존재와 시간』에 나타난 반복(Wiederholung)의 의미
2. 『반복』에 나타난 반복(Gjentagelsen)의 의미
3. 유사점과 차이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완종(wan-jong Kim). (2024).『존재와 시간』에 나타난 반복(Wiederholung)과 『반복』에 나타난 Kierkegaard의 반복(Gjentagelsen)의 의미 분석. 기독교철학, (), 179-199

MLA

김완종(wan-jong Kim). "『존재와 시간』에 나타난 반복(Wiederholung)과 『반복』에 나타난 Kierkegaard의 반복(Gjentagelsen)의 의미 분석." 기독교철학, (2024): 179-1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