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정론은 신학적 실수인가? 하우어워스의 실천적 신정론 읽기
이용수 0
- 영문명
- Is Theodicy a Theological Mistake? Reading Hauerwas’s Practical Theodicy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철학회
- 저자명
- 김기현(Ki-hyun Kim)
- 간행물 정보
- 『기독교철학』제41호, 145~17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스탠리 하우어워스의 실천적 신정론은 전통적 신정론의 추상성과 철학적 접근을 비판하며, 고통과 악의 문제에 대해 구체적이고 관계적인 응답을 제시한다. 전통적 신정론은 주로 자유의지, 영혼 형성, 과정 신정론 등의 이론을 통해 하나님의 선하심과 전능하심을 방어하려 하지만, 이는 고통받는 개인의 실존적 경험을 소외시키고 신앙 공동체의 연대와 돌봄을 약화시킨다는 한계를 가진다.
하우어워스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실천적 신정론을 제안하며, 고통을 설명하려는 대신 공동체적 실천과 신앙적 삶을 통해 그 의미를 발견하고 응답하는 방식을 강조한다. 그의 신정론은 서사(narrative), 공동체(community), 성품(character)의 중요성을 중심에 두고, 고통이 구속의 서사 속에서 신앙 공동체를 통해 재해석되고, 이를 통해 고통받는 사람들과의 관계적 연대를 구축한다.
본 논문은 하우어워스의 실천적 신정론을 철학적, 신학적, 그리고 그의 개인적 경험의 배경을 바탕으로 분석하며, 전통적 신정론과의 차별성을 탐구한다. 이를 통해 하우어워스의 신학이 고통에 대한 이론적 설명보다는, 고통 속에서의 신앙 공동체의 실천적 역할을 강조하는 독창적 대안을 제공함을 논의한다.
이 논문은 특히 한국 신학계에서 하우어워스의 실천적 신정론을 본격적으로 다룬 첫 번째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그의 신정론을 ‘실천적 신정론’으로 개념화함으로써, 고통과 악의 문제에 대한 신학적 대안을 모색하며, 하우어워스 신학의 고유한 가치를 드러내고자 한다.
영문 초록
Stanley Hauerwas critiques traditional theodicy for its reliance on abstract philosophical reasoning, which often neglects the relational and existential dimensions of pain and suffering. Rooted in modern rationalism, traditional theodicy seeks to defend God’s goodness and omnipotence but frequently reduces suffering to impersonal explanations through arguments like free will, soul-making, and process theodicy. Hauerwas contends that this approach disregards individuals’ lived experiences and diminishes the solidarity of faith communities, undermining the practical and relational aspects of Christian responses to suffering.
As an alternative, Hauerwas proposes practical theodicy, which shifts away from theoretical explanations and focuses on communal care and religious practices as responses to suffering. Practical theodicy reframes suffering within the narrative of redemption, emphasizing the role of faith communities in supporting those who suffer and rediscovering meaning through shared experiences. Central to this approach are narrative, community, and character formation, which recontextualize suffering as a communal and relational reality rather than an individual burden.
This paper explores Hauerwas’s practical theodicy by examining its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foundations, its critique of traditional theodicy, and its unique emphasis on communal care and solidarity. By defining Hauerwas’s approach as “practical theodicy,” the study offers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his theology of suffering as distinct from traditional models, highlighting its relevance to contemporary pastoral practice. Through this perspective, Hauerwas’s theology provides a significant alternative for addressing the problem of suffering by fostering communal support and uncovering the redemptive potential of pain within the life of faith communities.
목차
Ⅰ. 서론
Ⅱ. 실천적 신정론의 배경
Ⅲ. 철학적 신정론 비판
Ⅳ. 대안으로서의 실천적 신정론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정론은 신학적 실수인가? 하우어워스의 실천적 신정론 읽기
- 비폭력과 ‘종교적인 것’: 간디이즘(Gandhiism)에 나타난 종 교의 공공성
- 알렉산드리아의 필론에 있어서 homoiosis theo - praxis와 theoria를 중심으로
- 미래 포스트/트랜스휴머니즘 시대 인류의 가족 규정에 대한 연구 - M. 하이데거와 E. 레비나스를 통한 미래 인류의 새로운 가족 규정과 유사 인간가족 구성원에 대한 환대가능성의 모색
- 기독교 윤리학에서 사랑과 정의 - 아가페 윤리학에 대한 대안적 접근
- 칸트 철학에서 하나님 나라의 의미
- 키르케고르 작품에 나타난 기독교 윤리의 본질로서의 채무 의식
- 『존재와 시간』에 나타난 반복(Wiederholung)과 『반복』에 나타난 Kierkegaard의 반복(Gjentagelsen)의 의미 분석
- 『성 바울』을 통해 본 알랭 바디우의 주체 이론
- 평양 숭실의 철학 교수들 - 편하설·채필근·박치우를 중심으로
- 다산( 茶山 )의 『대학( 大學 )』 - 레게(J. Legge)와 게일(J. Gale)의 영역본과 비교하여
- 인간의 조건으로서 괴델문장과 반기계론의 위기
- 에큐메니칼 운동 “삶과 일”에서 경제윤리에 대한 연구 - 1925년 제1차 스톡홀름 세계대회를 중심으로
- 신-인 관계 토대로서 심-미적 실존 연구 - 키에르케고어의 미적 실존에 슐라이어마허의 의존감정을 잇댐으로써
- 에스겔 34장과 상호텍스트적으로 접근한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신정론은 신학적 실수인가? 하우어워스의 실천적 신정론 읽기
- 비폭력과 ‘종교적인 것’: 간디이즘(Gandhiism)에 나타난 종 교의 공공성
- 알렉산드리아의 필론에 있어서 homoiosis theo - praxis와 theoria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