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인 관계 토대로서 심-미적 실존 연구 - 키에르케고어의 미적 실존에 슐라이어마허의 의존감정을 잇댐으로써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aesthetic existence as a basis for God-human relationship :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Kierkegaard’s aesthetic existence and Schleiermacher’s feelings of dependence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철학회
- 저자명
- 김진한(Jin-han Kim)
- 간행물 정보
- 『기독교철학』제41호, 235~273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통적으로 진(眞)과 선(善)에 치우친 프로테스탄트 신-인 관계는 환원주의에 따른 왜곡이 불가피했다. 신의 필연성을 강조한 진(眞)의 차원에서는 신-인 관계에서의 주도권이 신에 있었디. 신의 일방적인 주도권 행사는 인간 억압을 가져왔다. 신의 필연성을 강조하는 이 전통에서 인간의 가능성은 철저하게 배제되었다. 신의 초월성을 강조하자 인간이 신에게 종속되는 관계로 전락했으며 신의 내재성에 몰두하자 인간이 자연과 동일시 되었다. 후자의 경우 인간이 자연으로 해소되어 버리는 비극을 초래했다. 한편 계몽주의 이후 선의 차원에서는 신-인 관계의 한 축인 의지적 주체가 전면에 등장해 주체의 신격화로 이어졌다. 인간의 가능성을 절대화하는 경향은 교만한 주체를 부채질했고 결국 인간 소외라는 결과를 낳았다.
필자는 신관이 인간의 자기 이해 반영이라는 점에서 인간 억압과 소외를 낳는 전통적인 프로테스탄트 신-인 관계 왜곡이 인간에 대한 파편적이고 환원주의적 이해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인간에 대한 통전적 이해로의 전환을 시도했다. 신-인 관계의 토대로서 미학적 실존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케에르케고어의 미적 실존에 슐라이어마허의 의존감정을 잇대어 분석하는 방법을 활용했다. 결론적으로 두 사상가에서 나타난 미학적 실존은 가능성과 죄성이 상호공속적으로 얽힌 통사람으로서의 실존을 가리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인간을 정신의 어느 한 요소로 환원시키는 파편적 인간 이해를 거부하는 이러한 미학적 실존 이해는 고전적 신관의 한계를 극복하며 현대의 신-인 관계에 생명력, 역동성을 불어넣는 징검다리가 되어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rotestant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ity, which was traditionally biased toward truth and goodness, was inevitably subject to distortion due to reductionism. At the level of reason, which emphasized God’s one-sidedness, God had the initiativ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God’s unilateral exercise of initiative led to human oppression. In this tradition that emphasizes the inevitability of God, human possibilities are completely excluded. When the transcendence of God was emphasized, humans were reduced to a relationship of subordination to God, and when they became absorbed in the immanence of God, humans became identified with nature. In the latter case, it resulted in the tragedy of humans being dissolved into nature. Meanwhile, in the dimension of goodness after the Enlightenment, the volitional subject, which is an ax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came to the fore, leading to the deification of the subject. The tendency to absolutize human potential fueled arrogant subjects and ultimately resulted in human alienation.
The author noted that the traditional Protestant distortion of the God-human relationship, which leads to human oppression and alienation, is based on a fragmentary and reductionist understanding of humans, given that the view of God is a reflection of human self-understanding. Accordingly, this paper attempted to transition to a holistic understanding of humans.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research on aesthetic existence as the basi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a method of analyzing Kierkegaard’s aesthetic existence and Schleiermacher’s feelings of dependence was used.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aesthetic existence revealed in the two thinkers points to the existence of a whole person in which possibility and sin are mutually intertwined. This aesthetic understanding of existence, which rejects the fragmentary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that reduces them to a single element of the human mind,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classical view of God and serves as a stepping stone to infuse vitality and dynamism into modern God-human relationship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미학적 실존과 신-인 관계
Ⅲ. 슐라이어마허의 의존감정
Ⅳ. 키에르케고어의 미적 실존과 슐라이어마허의 직접적 자기의식
Ⅴ.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정론은 신학적 실수인가? 하우어워스의 실천적 신정론 읽기
- 비폭력과 ‘종교적인 것’: 간디이즘(Gandhiism)에 나타난 종 교의 공공성
- 알렉산드리아의 필론에 있어서 homoiosis theo - praxis와 theoria를 중심으로
- 미래 포스트/트랜스휴머니즘 시대 인류의 가족 규정에 대한 연구 - M. 하이데거와 E. 레비나스를 통한 미래 인류의 새로운 가족 규정과 유사 인간가족 구성원에 대한 환대가능성의 모색
- 기독교 윤리학에서 사랑과 정의 - 아가페 윤리학에 대한 대안적 접근
- 칸트 철학에서 하나님 나라의 의미
- 키르케고르 작품에 나타난 기독교 윤리의 본질로서의 채무 의식
- 『존재와 시간』에 나타난 반복(Wiederholung)과 『반복』에 나타난 Kierkegaard의 반복(Gjentagelsen)의 의미 분석
- 『성 바울』을 통해 본 알랭 바디우의 주체 이론
- 평양 숭실의 철학 교수들 - 편하설·채필근·박치우를 중심으로
- 다산( 茶山 )의 『대학( 大學 )』 - 레게(J. Legge)와 게일(J. Gale)의 영역본과 비교하여
- 인간의 조건으로서 괴델문장과 반기계론의 위기
- 에큐메니칼 운동 “삶과 일”에서 경제윤리에 대한 연구 - 1925년 제1차 스톡홀름 세계대회를 중심으로
- 신-인 관계 토대로서 심-미적 실존 연구 - 키에르케고어의 미적 실존에 슐라이어마허의 의존감정을 잇댐으로써
- 에스겔 34장과 상호텍스트적으로 접근한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신정론은 신학적 실수인가? 하우어워스의 실천적 신정론 읽기
- 비폭력과 ‘종교적인 것’: 간디이즘(Gandhiism)에 나타난 종 교의 공공성
- 알렉산드리아의 필론에 있어서 homoiosis theo - praxis와 theoria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