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키르케고르 작품에 나타난 기독교 윤리의 본질로서의 채무 의식

이용수 0

영문명
The Consciousness of Debt as the Essence of Christian Ethics in Kierkegaard’s Works
발행기관
한국기독교철학회
저자명
이창우(Chang-woo Lee)
간행물 정보
『기독교철학』제41호, 37~6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키르케고르의 작품에 나타난 기독교 윤리의 본질로서의 **채무 의식(debt or obligation)**을 중심으로, 그의 철학이 다른 사상가들과 어떻게 구별되는지를 탐구한다. 키르케고르의 채무 의식은 로마서 13장 8절에서 언급된 “사랑의 빚” 개념에서 출발하며, 이는 인간이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사랑을 실천하는 무한한 의무로 정의된다. 이러한 채무 의식은 단순히 갚아야 할 빚이 아니라, 계속 지는 것이 의무인 역설적인 개념이다. 논문은 니체(Friedrich Nietzsche), 레비나스(Emmanuel Levinas), 바타유(Georges Bataille) 등 주요 철학자들과의 비교를 통해 키르케고르의 독창성을 분석한다. 특히 니체는 채무를 외재적 관계에서 비롯된 경제적 개념으로 보며, 기독교 윤리를 비판적으로 분석했지만, 키르케고르는 채무를 은혜와 사랑에 기반한 내면적 윤리로 해석했다. 레비나스의 무한 책임 개념은 타자와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채무 의식을 설명하지만, 키르케고르는 이를 하나님과의 관계로 귀결시킨다. 또한, 바타유가 증여와 소비를 통해 사회적 채무를 논의하는 반면, 키르케고르는 사랑의 빚을 갚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기독교적 은혜의 실천을 강조한다. 논문은 채무 의식이 기독교 윤리의 핵심 개념으로서, 사랑을 의무화하고 지속 가능하게 만드는 동력임을 주장한다. 또한, 키르케고르의 사상이 윤리적 과업으로서의 사랑을 통해 죄책, 고난, 은혜를 통합하는 독창적 모델을 제시하며, 다른 사상가들과의 비교 속에서 그의 신학적 윤리학의 깊이를 재조명한다. 이를 통해 기독교 윤리의 본질과 그 실천적 의미를 탐구하는 데 기여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concept of debt or obligation as the essence of Christian ethics in Kierkegaard’s works and examines how his philosophy is distinguished from that of other thinkers. Kierkegaard’s notion of debt originates from the concept of “the debt of love” mentioned in Romans 13:8, which he defines as an infinite obligation for humans to practice love within their relationship with God. This sense of debt is paradoxical in that it is not about repaying but rather about continuously remaining indebted. The paper analyzes Kierkegaard’s originality by comparing his thoughts with those of prominent philosophers such as Friedrich Nietzsche, Emmanuel Levinas, and Georges Bataille. While Nietzsche regards debt as an economic concept arising from external relationships and criticizes Christian ethics, Kierkegaard interprets it as an internal ethic rooted in grace and love. Levinas’s notion of infinite responsibility describes debt in relation to others, whereas Kierkegaard centers this responsibility on the relationship with God. Bataille, on the other hand, discusses debt through the lens of gift and consumption within social contexts, but Kierkegaard emphasizes the practice of Christian grace manifested through the repayment of the debt of love. The paper argues that the sense of debt is a core concept in Christian ethics, functioning as the driving force that makes love an obligatory and enduring commitment. Kierkegaard’s thought is presented as a unique model that integrates guilt, suffering, and grace into the ethical task of love. Through comparisons with other thinkers, the study reexamines the depth of Kierkegaard’s theological ethics, contributing to an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Christian ethics and its practical implications.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창우(Chang-woo Lee). (2024).키르케고르 작품에 나타난 기독교 윤리의 본질로서의 채무 의식. 기독교철학, (), 37-64

MLA

이창우(Chang-woo Lee). "키르케고르 작품에 나타난 기독교 윤리의 본질로서의 채무 의식." 기독교철학, (2024): 37-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