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알렉산드리아의 필론에 있어서 homoiosis theo - praxis와 theoria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homoiosis theo in Philo of Alexandria : as regards praxis and theoria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철학회
- 저자명
- 오유석(Yu-suk Oh)
- 간행물 정보
- 『기독교철학』제41호, 333~383쪽, 전체 5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8,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알렉산드리아의 필론이 플라톤 이래로 신을 닮음(homoiosis theo)에 관한 해석 전통을 어떻게 비판적으로 수용했으며 관조(theoria)와 실천(praxis) 사이의 갈등을 어떻게 해소하고자 했는지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필론은 덕의 실천을 homoiosis theo를 추구하기 위한 준비과정으로 이해한다. 하지만 praxis를 단지 theoria를 위한 예비적 단계로 간주한 알키누스나 플로티노스와는 달리, 필론에 따르면 철인 통치자(가능한 한 하나님을 닮는 자)에게 theoria는 praxis를 위한 기초인 동시에 삶의 최종 목표이기도 하다. 가령 모세는 시내산에서 천상의 신비를 관조한 후 동료 시민들을 위해 지상세계로 귀환한다. 마치 플라톤의 『국가』 7권에서 동굴로 귀환한 죄수처럼, 타인에게 유익을 주기 위해 자신의 영적 경험을 나누는 한편 자기 삶을 본으로 제시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최종 목표는 사회적 실천이 아니라 하나님을 관조하는 것이다. 육체적 굴레를 완전히 벗은 순수 지성은 피조세계를 넘어 초월적 하나님을 직관한다.
필론은 가능한 한 하나님을 닮는 자를 일종의 철인 통치자로 해석하면서 대표적 사례로 모세를 제시한다. 입법가-제사장-선지자를 겸한 왕 모세는 하나님(의 형상)을 닮고자 했으며, 다른 한편으로 이스라엘 백성에게 본이 되었다. 또한 세상을 떠났을 때 모세는 선지자적 황홀경을 통해 하나의 본성으로 환원되었고 육체를 초월한 순수 지성으로 거듭나서, 신들림 속에서 하나님의 형상을 통해 하나님을 직관했다.
필론에 있어서 인간이 닮을 수 있는 한계는 하나님의 형상 로고스(두 번째 신)까지라고 생각된다. 그럼에도 그는 순수 지성이 로고스의 도움으로 초월적 하나님(로고스를 초월한 우주의 아버지 또는 첫 번째 신)을 직관할 수 있다고 말한다. 육체로부터 분리되어 순수해진 지성이 인간으로서 가능한 한 하나님의 형상(로고스)을 닮게 되고 신들림 속에서 하나님을 직관한다는 것이다(인간 지성-로고스-하나님의 연합). 하지만 지성-로고스-하나님의 연합은 모세처럼 소수의 선택된 사람에게만 허락된 특권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show how Philo of Alexandria interpreted critically the tradition of homoiosis theo (assimilation to God) since Plato, trying to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theoria and praxis.
Like Alcinous and Plotinus, Philo understands the practice of virtue as a preparatory process for pursuing homoiosis theo. However, unlike them who regarded praxis as a mere preparatory step for theoria, Philo thinks that theoria is both the foundation for praxis and the ultimate goal of life for the philosopherking (i.e. the one who assimilates to God as much as possible). For example, Moses, after contemplating the heavenly mysteries on Mount Sinai, returned to earth to serve his fellow citizens. Just as the prisoner who returns to the cave in Book 7 of Plato’s Republic, Moses shared his spiritual experiences for the benefit of others, presenting his own life as an example. Nevertheless, the ultimate goal of human beings is not praxis but contemplation of God. Pure intellect, completely free from physical shackles, contemplates God beyond the created world.
Philo interprets Moses as a philosopher-king who assimilates to God as much as possible. Moses, a king who was a law-giver, priest and prophet, sought to assimilate to God, and on the other hand, he became an example to follow for the Israelites. However, to come closer to God, Moses had to be born again. Through prophetic ecstasy, he was reduced to nature of monas and was reborn as a pure intellect transcending the flesh. Finally, in a state of divine possession, Moses contemplated God through God’s Logos (i.e. God’ image). This God-possessed contemplation can be considered as the mysterious union of intellect-Logos-God.
For Philo, the limit to what humans can assimilate to is the Logos, the image of God (i.e. the second god). Nevertheless, he says that the pure human intelligence can contemplate the transcendent God (the first god who transcends the Logos) with the help of the Logos. The intellect that has been separated from the body and become pure assimilates to the image of God (Logos) as much as possible, and contemplates God through divine possession (union of human intellect, Logos, and God). However, this mystical union is a privilege granted only to a select few like Moses.
목차
Ⅰ. 시작하는 말
Ⅱ. 관조적 삶 vs. 실천적 삶: 플라톤에 있어서 homoiosis theo와 이에 대한 해석들
Ⅲ. homoiosis theo에 대한 필론의 해석
Ⅳ. 필론에 있어서 하나님의 형상과 왕의 길
Ⅴ. 철인 왕 모세
Ⅵ. 하나님을 닮음인가 하나님의 형상을 닮음인가
Ⅶ.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정론은 신학적 실수인가? 하우어워스의 실천적 신정론 읽기
- 비폭력과 ‘종교적인 것’: 간디이즘(Gandhiism)에 나타난 종 교의 공공성
- 알렉산드리아의 필론에 있어서 homoiosis theo - praxis와 theoria를 중심으로
- 미래 포스트/트랜스휴머니즘 시대 인류의 가족 규정에 대한 연구 - M. 하이데거와 E. 레비나스를 통한 미래 인류의 새로운 가족 규정과 유사 인간가족 구성원에 대한 환대가능성의 모색
- 기독교 윤리학에서 사랑과 정의 - 아가페 윤리학에 대한 대안적 접근
- 칸트 철학에서 하나님 나라의 의미
- 키르케고르 작품에 나타난 기독교 윤리의 본질로서의 채무 의식
- 『존재와 시간』에 나타난 반복(Wiederholung)과 『반복』에 나타난 Kierkegaard의 반복(Gjentagelsen)의 의미 분석
- 『성 바울』을 통해 본 알랭 바디우의 주체 이론
- 평양 숭실의 철학 교수들 - 편하설·채필근·박치우를 중심으로
- 다산( 茶山 )의 『대학( 大學 )』 - 레게(J. Legge)와 게일(J. Gale)의 영역본과 비교하여
- 인간의 조건으로서 괴델문장과 반기계론의 위기
- 에큐메니칼 운동 “삶과 일”에서 경제윤리에 대한 연구 - 1925년 제1차 스톡홀름 세계대회를 중심으로
- 신-인 관계 토대로서 심-미적 실존 연구 - 키에르케고어의 미적 실존에 슐라이어마허의 의존감정을 잇댐으로써
- 에스겔 34장과 상호텍스트적으로 접근한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신정론은 신학적 실수인가? 하우어워스의 실천적 신정론 읽기
- 비폭력과 ‘종교적인 것’: 간디이즘(Gandhiism)에 나타난 종 교의 공공성
- 알렉산드리아의 필론에 있어서 homoiosis theo - praxis와 theoria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