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업에서의 칭찬이 인센티브를 매개로 판매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2
- 영문명
- The Impact of Corporate Praise on Sales Performance through Incentives
- 발행기관
- 글로벌융합연구학회
- 저자명
- 김기동(Ki-Dong Kim) 김지혜(Ji-Hye Kim) 박지윤(Ji-Yoon Park) 최진용(Jin-Yong Choi)
- 간행물 정보
- 『글로벌융합연구학회지』제3권 제2호, 114~124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 비지니스 환경에서 판매 성과는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과 수익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많은 기업들이 판매성과를 높이기 위해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직원들의 동기부여를 강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선행연구에서 직원들이 인식하는 동기부여 요인들은 언어적 칭찬, 유형적 칭찬, 제도적 칭찬으로 제시한다[1]. 각각의 칭찬 유형이 직원들의 동기부여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3가지 칭찬 유형에 따라 인센티브가 판매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으로 둔다. 이 논문은 칭찬의 유형을 구분하고 두 개 매개변수로 개인과 집단의 인센티브가 판매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연구를 위해 LG의 영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표본을 수집하고 PLS 4.0(구조방정식 패키지)을 이용하여 실증분석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언어적칭찬은 개인인센티브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H1-1-1은 기각되었다. 제도적칭찬은 집단인센티브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H1-3-2는 기각되었다. H1은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둘째, 개인인센티브는 판매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H2-1은 채택되었다. 집단인센티브는 판매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H2-2는 채택되었다. H2는 채택되었다.
영문 초록
In the contemporary business landscape, sales performance is a pivotal factor in ensuring an organization's long-term growth and profitability. To enhance sales performance, many organizations have implemented incentive programs aimed at strengthening employee motivation. Previous research identifies motivational factors as verbal praise, tangible praise, and institutional praise [1], with each type having potentially distinct effects on employee motiv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incentives on sales performance, focusing on the three types of praise identified in prior studies. It further analyzes the mediating effects of individual and group incentives on sales performa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administered to LG Electronics sales representatives.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PLS 4.0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verbal praise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ndividual incentives, leading to the rejection of H1-1-1. Institutional praise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group incentives, resulting in the rejection of H1-3-2. Thus, H1 was partially supported. Second, individual incentiv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sales performance, supporting H2-1. Similarly, group incentive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nfluenced sales performance, supporting H2-2. Consequently, H2 was fully support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설계
4. 실증분석 및 결과
5.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hatGPT 기능이 대학생의 학습성과와 학업성취도를 매개로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UTAUT2 기반 인공지능 기술이 실제 시스템 사용을 통한 사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인플루언서 광고 상품이 구매로 연결되는지 여부에 관한 연구 : 인플루언서의 특징 위주로
- SNS 중독성이 정보 윤리교육과 교육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가 인식한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기업에서의 칭찬이 인센티브를 매개로 판매성과에 미치는 영향
- SNS을 활용한 마케팅이 홍보성과 구매행위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을 활용한 맞춤형 교육이 지속사용의도에 주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키오스크의 지각된 혜택이 고객과 종업원의 만족도,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General, Transfer and Transfer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Major and Liberal Arts Classes
- The Impacts of Display Types and Display Arrangement on Purchase Intention
- 영유아교육기관의 평가 고찰 - 한국, 영국, 호주, 뉴질랜드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