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NS 중독성이 정보 윤리교육과 교육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2
- 영문명
- The Effect of SNS Addiction on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and Education Satisfaction
- 발행기관
- 글로벌융합연구학회
- 저자명
- 정채영(Chae-Young Jung)
- 간행물 정보
- 『글로벌융합연구학회지』제3권 제2호, 1~1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정보 사회가 도래하고 있는 현대에 스마트폰은 현대인들의 필수품이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SNS가 오프라인 중심으로 관계를 맺고 유지하던 관계를 온라인에서도 맺고 확장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나아가 극단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SNS 중독이라는 역기능에 빠지게 된다. 이는 도파민의 쾌락 시스템(pleasure system)과 연결되어 있고 전두엽의 손상까지 이어지게 되어 스마트폰 억제 기능이 떨어지게 된다. SNS의 중독에 대하여 다양한 대처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정보 윤리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SNS의 중독성이 정보 윤리교육과 교육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SNS 중독성, 윤리교육, 교육 만족의 관계에서 순차적으로 양(+)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설을 세웠고 이를 검증하고자 20대 2, 3학년 여자 대학생 50명의 설문지 답안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SNS 중독성이 윤리교육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유의미하였고 윤리교육이 교육 만족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 또한 유의미하므로 본 연구의 가설은 채택되었다.
영문 초록
Smartphones have become a necessity for modern people in the modern era when the information society is coming. This change has fallen into the dysfunction of SNS addiction in extreme use in that it allows SNS to establish and expand relationships that have been maintained offline. This is connected to dopamine's pleasure system and leads to damage to the frontal lobe, which reduces smartphone suppression. While various solutions to SNS addiction are being proposed, this study focuses on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and aims to find out how SNS addiction affects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Therefore,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addiction, ethics education, and education satisfaction would have a positive (+) effect sequentially, and this was statistically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hypothesis that SNS addict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ethical education was significant, and the hypothesis that ethical educat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also significant, so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adopt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설계
4. 실증분석 및 결과
5.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hatGPT 기능이 대학생의 학습성과와 학업성취도를 매개로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UTAUT2 기반 인공지능 기술이 실제 시스템 사용을 통한 사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인플루언서 광고 상품이 구매로 연결되는지 여부에 관한 연구 : 인플루언서의 특징 위주로
- SNS 중독성이 정보 윤리교육과 교육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가 인식한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기업에서의 칭찬이 인센티브를 매개로 판매성과에 미치는 영향
- SNS을 활용한 마케팅이 홍보성과 구매행위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을 활용한 맞춤형 교육이 지속사용의도에 주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키오스크의 지각된 혜택이 고객과 종업원의 만족도,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General, Transfer and Transfer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Major and Liberal Arts Classes
- The Impacts of Display Types and Display Arrangement on Purchase Intention
- 영유아교육기관의 평가 고찰 - 한국, 영국, 호주, 뉴질랜드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