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공지능을 활용한 맞춤형 교육이 지속사용의도에 주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13

영문명
A Study on the Impact of Personalized Edu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n Continued Use Intention
발행기관
글로벌융합연구학회
저자명
송희정(Heejeong Song)
간행물 정보
『글로벌융합연구학회지』제3권 제2호, 65~76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인공지능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학습환경은 급격히 교육 기술 기반으로 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AI)의 교육 분야 적용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인공지능 맞춤형 학습은 단순히 학습의 편리함을 넘어 개개인의 학습성과를 증진하고, 자기주도학습이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이런 인공지능 맞춤형 학습의 특징들은 사용자들이 해당 교육을 계속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의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 논문은 앞서 말한 지속사용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인공지능 맞춤형 교육의 특성에 중점을 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맞춤형 교육에 대한 선행연구와 효율성, 효과성, 정확성의 3가지 특성으로 분류하여 인공지능 맞춤형 교육의 개념 및 지속사용의지를 명확히 하였다. 연구에서는 창의성, 교육만족도라는 2개의 매개변수를 제시하고 이에 상응하는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설문지를 이용해 표본을 수집하였고 IBM SPSS 버전 23.0 및 Smart PLS 4.0(구조방정식 패키지)을 이용해 실증 분석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효율성은 창의성과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H1은 채택되었다. 둘째, 효과성은 창의성과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H2는 채택되었다. 셋째, 정확성은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H3-1은 기각되었다. 정확성은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H3-1은 채택되었다. 넷째, 창의성은 지속사용의지에 영향을 미치므로 H4는 채택되었다. 다섯째, 교육만족도는 지속사용의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H5는 기각되었다.

영문 초록

A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developing day by day, the learning environment has rapidly changed to an educational technology-based one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Accordingly, interest in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to the field of education has increased. AI-tailored learning has become an important means to improve individual learning outcomes and enable self-directed learning beyond the simple convenience of learning. These characteristics of AI-tailored learning will affect users' willingness to continue using the education. This paper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AI-tailored education that affect the willingness to continue using the aforementioned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clarified the concept of AI-tailored education and willingness to continue using it by classifying it into three characteristics: efficiency, effectiveness, and accuracy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AI-tailored education. In the study, two parameters, creativity and education satisfaction, were presented and a corresponding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and the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using IBM SPSS version 23.0 and Smart PLS 4.0 (structural equation packag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efficiency affected creativity and education satisfaction. H1 was accepted. Second, effectiveness affected creativity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H2 was accepted. Third, accuracy did not affect creativity, so H3-1 was rejected. Accuracy affected educational satisfaction. H3-1 was accepted. Fourth, creativity affected the willingness to continue using, so H4 was accepted. Fifth, educational satisfaction did not affect the willingness to continue using, so H5 was reject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설계
4. 실증분석 및 결과
5.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희정(Heejeong Song). (2024).인공지능을 활용한 맞춤형 교육이 지속사용의도에 주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글로벌융합연구학회지, 3 (2), 65-76

MLA

송희정(Heejeong Song). "인공지능을 활용한 맞춤형 교육이 지속사용의도에 주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글로벌융합연구학회지, 3.2(2024): 65-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