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UTAUT2 기반 인공지능 기술이 실제 시스템 사용을 통한 사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2
- 영문명
- The Impact of UTAUT2-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on User Satisfaction through Actual System Use
- 발행기관
- 글로벌융합연구학회
- 저자명
- 장소정(So-Jeong Jang) 캉헝위(HENGYU KANG) 천야난(YANAN CHEN) 김하균(Ha-Kyun Kim)
- 간행물 정보
- 『글로벌융합연구학회지』제3권 제2호, 101~1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공지능(AI)은 지각, 추론, 학습, 언어 능력을 인간처럼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로 자리 잡았다. 특히 생성형 AI는 대용량 데이터 학습을 통해 텍스트, 이미지, 음악 등 새로운 창작물을 생성하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이 기술은 인공신경망과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이해하고 데이터를 학습해 다양한 콘텐츠를 생성한다. 인공지능은 인간 고유의 지능과 관련된 학습, 인지, 추론을 컴퓨터 과학의 개념과 도구로 구현하는 기술로 정의된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반 UTAUT2 특성이 사용자 만족에 관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인공지능 서비스를 이용하는 일반 소비자들이며, 통계분석은 Smart PLS 4.0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과기대는 행동의도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노력기대는 행동의도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적영향은 행동의도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넷째, 촉진조건은 행동의도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섯째, 신뢰는 행동의도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개인 혁신성은 행동의도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행동의도는 실제 시스템 사용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여덟째, 실제 시스템 사용은 사용자 만족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UTAUT2 모델을 활용하여 AI 기술의 사용자 행동의도, 실제 시스템 사용, 그리고 사용자 만족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성과기대, 노력기대, 촉진조건, 신뢰, 개인혁신성이 AI 수용 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행동의도가 실제 시스템 사용을 거쳐 사용자 만족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입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AI 기술 개발자와 기업은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신뢰를 구축하며, 기술적 지원을 강화함으로써 AI 기술의 채택율과 사용자 만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a computer system that performs perception, reasoning, learning, and language abilities similar to humans, making it a cor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articularly, generative AI, which creates new content such as text, images, and music through large-scale data learning, has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This technology utilizes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machine learning to understand user intentions, learn from data, and generate various types of content. AI is defined as a technology that implements human intelligence-related functions such as learning, cognition, and reasoning using the concepts and tools of computer scienc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AI-based UTAUT2 characteristics on user satisfaction. The research targets general consumers who use AI service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mart PLS 4.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UTAUT2 characteristics in the contex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on user satisfaction. The research subjects were general consumers who use AI service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mart PLS 4.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formance expectan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Second, effort expectan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Third, social influ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Fourth, facilitating conditions did no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Fifth, trus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Sixth, personal innovative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Seventh, behavioral inten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ctual system use. Eighth, actual system us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user satisfaction.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relationships between AI technology’s behavioral intention, actual system use, and user satisfaction based on the UTAUT2 model.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trust, and personal innovativeness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acceptance intention of AI technology. Furthermore, behavioral intention was shown to lead to actual system use, which, in turn, positively influenced user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AI technology developers and companies should enhance user experience, build trust, and strengthen technical support to maximize AI technology adoption and user satisfac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설계
4. 실증분석 및 결과
5.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hatGPT 기능이 대학생의 학습성과와 학업성취도를 매개로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UTAUT2 기반 인공지능 기술이 실제 시스템 사용을 통한 사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인플루언서 광고 상품이 구매로 연결되는지 여부에 관한 연구 : 인플루언서의 특징 위주로
- SNS 중독성이 정보 윤리교육과 교육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가 인식한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기업에서의 칭찬이 인센티브를 매개로 판매성과에 미치는 영향
- SNS을 활용한 마케팅이 홍보성과 구매행위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을 활용한 맞춤형 교육이 지속사용의도에 주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키오스크의 지각된 혜택이 고객과 종업원의 만족도,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General, Transfer and Transfer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Major and Liberal Arts Classes
- The Impacts of Display Types and Display Arrangement on Purchase Intention
- 영유아교육기관의 평가 고찰 - 한국, 영국, 호주, 뉴질랜드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