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충북의 철도 노선 변화와 도시공간구조
이용수 15
- 영문명
- Railroad line changes and urban spatial structure in Chungbuk -A Focus of Chungbuk Line-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 저자명
- 윤현위(Hyunwi Yoon) 김가은(Gaeun Kim) 박수민(Sumin Park)
- 간행물 정보
- 『중원문화연구』제33집, 409~42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일제강점기 충북지역의 수탈을 목적으로 부설된 충북선은 조치원과 제천 사이를 연결하는 철도이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치원에서 충주까지 연결되었으며 해방 이후에 제천까지 확장되었다. 충북선은 여객보다는 강원도 일대의 지하자원을 수송하기 위한 산업철도의 성격이 강하다. 1980년 복선화를 거치면서 충북선의 주요 연선지역인 청주, 증평, 음성, 충주 등의 도시구조변화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최근에는 충북선 고속화사업과 광역철도개발계획이 수립되어 또 다른 변화가 예상된다. 그러나 충북선의 고속화와 청주공항에 연결되는 광역철도는 공항주변의 개발과 청주의 신도시개발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인구감소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충북의 중소도시들은 다소 배제되어 있어 향후 지역소멸 방지를 위한 철도계획이 필요한 상황이다.
영문 초록
The Chungbuk Line, which was built as a private railroad for the purpose of taking over the Chungbuk region of the Japanese occupation, is a railroad that connects Chungcheongbuk-do to Jecheo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it was connected to Chungju and was extended to Jecheon after liberation. The Chungbuk Line was more of an industrial railroad to transport underground resources in Gangwon-do than passengers. It was double-tracked in 1980, which had a major impact on the urban structure of Cheongju, Jeungpyeong, Eumseong, and Chungju, which are the main connecting areas of the Chungbuk Line, and recently, another change is expected as the Chungbuk Line high-speed project and the Regional Rail Development Plan have been established. However, the high-speed development of the Chungbuk Line and the wide-area railroad connecting to Cheongju Airport are focused on the development around the airport and the development of new cities in Cheongju, and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Chungbuk, which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due to population decline, are somewhat excluded, so a railroad plan is needed to prevent the disappearance of region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충북선의 부설과 현재까지
Ⅲ. 충북선과 공간구조의 변화
Ⅳ. 충북지역 철도개발계획과 공간변화에 대한 전망
Ⅴ. 나아가면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원문화연구 제33집 목차
- 삼국통일전쟁의 軍事史的 연구와 역사적 함의
- 삼국통일전쟁기 김유신의 전략과 전술
- 나당군사동맹의 체결 시점 재고
- 666-667년 고구려-당 전쟁의 전황
- 나당연합군과 백제의 전쟁
- 나당전쟁기 고구려 백수성의 위치에 대하여
- 신라의 삼국통일 전후처리와 통일인식
- 신라 한주 관방시설 정비의 군사사적 의미
- 670년대 이후 고구려 유민과 신라·당 관계
- 삼국통일 후 신라 6정·10정의 재편과 운용
- 한성기 백제 지방성으로서의 충주 장미산성 검토
- 문화유산으로서의 선사시대 유적 활용 방안 검토 - 부여 송국리유적을 대상으로
- 남한지역 무기단식 적석묘의 전개양상과 축조집단에 대하여
- 신라의 報德國 경략과 一統 이념
- 신라 中·下代 전국 도로망과 지역 네트워크
- 충북의 철도 노선 변화와 도시공간구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