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삼국통일전쟁의 軍事史的 연구와 역사적 함의
이용수 31
- 영문명
- The investigation of the military history and its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war of Unification Three Kingdom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 저자명
- 한준수(Jun-su Han)
- 간행물 정보
- 『중원문화연구』제33집,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고찰은 7세기 후반 삼국의 격변과 삼국통일전쟁이 지니는 군사사적 연구에 대한 의미를 개관한 것이다. 일반적 시각으로서 軍事나 軍事史는 무엇이며, 군사사적 고찰을 통한 역사적 의미는 무엇인지 살폈으며, 구체적인 역사적 사건으로서 삼국통일전쟁에 대한 군사사적 고찰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삼국통일전쟁과 나당전쟁의 승자로서 신라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 신라의 국력, 신라의 육군과 수군, 그리고 전략과 전술 등에 대하여 접근하였고, 이를 통해 신라가 역사의 승자로서 당당히 자리할 수 있었음을 논증하였다. 더하여 현재의 군사사 연구가 지니는 한계에 대해서도 언급함으로써 균형적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서술하였다.
흔히 인간의 역사는 전쟁의 역사라고 한다. 우리의 역사 역시 예외는 아니었으며, 『삼국사기』 등에 전하는 수많은 전쟁 관련 기록들은 그것을 증명해 준다. 그러한 점에서 7세기 동아시아는 전쟁의 세기였으며, 우리는 그러한 전쟁의 당사자로서 역사의 중심에 존재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수전쟁, 여당전쟁, 삼국통일전쟁, 나당전쟁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전쟁들이 지니는 의미에 대하여 일찍부터 고찰이 진행되어 왔으며 역사적 의의나 한계가 살펴졌다.
한국 고대사에 있어 가장 큰 역사적 전환점이 되는 삼국통일전쟁에 대해서도 많은 고찰이 진행되었고 그 결과 민족문화의 토대가 구축되었다는 역사적 의의가 제시되었으며, 역사학계는 물론 일반 대중도 공감하는 통설적 견해로 자리하고 있다.
하지만 그러한 역사적 인식과는 별개로 그 고찰 과정에 있어서의 아쉬움은 존재한다. 삼국통일전쟁이 오늘날의 세계대전에 버금가는 전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전쟁사를 중심으로 한 군사사 시각의 접근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7세기 한반도의 삼국과 동아시아 세계에 대한 올바른 역사 인식을 위해서는 정밀한 군사사적 고찰이 진행되어야만 한다. 이것이 군사사적 고찰이 지니는 근본적 의의라 할 수 있다. 고찰을 통해 군사사에 대한 이해 확대는 물론 삼국통일전쟁과 삼국통일이 지니는 역사적 의의에 대한 이해가 한 단계 깊어질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outlines the significance of the military historical ancient temple of the upheaval of the Three Kingdoms and the unification war of the Three Kingdoms in the late 7th century. In Chapter Ⅱ, we looked at the general view of military and military history, and in Chapter Ⅲ, we looked at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military history by military historical considerations, and in Chapter 3, we looked at the meaning of military historical considerations of the Three Kingdoms War.
As the winner of the Three Kingdoms Unification War and the Silla-Tang War, he examined Silla's national power, Silla's army and naval forces, strategies and tactics, and proved that Silla was firmly established as the winner of history. In addition, the limitations of current military history research were also mentioned to give a balanced view. Through the study, we hope that we will not only expand our understanding of military history, but als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Three Kingdoms War and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It is often said that human history is the history of war. Korean history is no exception, and numerous war-related records handed down in “The Three Kingdoms' History” prove this. In this respect, East Asia in the 7th century was a century of war, and we were at the center of history as parties to such wars. These include the Goguryeo-Sui War, the Goguryeo-Tang War, the Unification War of the Three Kingdoms, and the Nadang War. The meaning of such a war has been examined early on, and historical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have been presented.
Although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Three Kingdoms Unification War, which is the biggest turning point in Korean ancient history, has been suggested, it has become a common view that not only historical scholars but also the general public sympathize with it.
However, apart from such historical perceptions, the process of consideration remains unsatisfactory. This is because, despite the fact that the War of the Three Kingdoms was a war comparable to the modern world war, there is a lack of direct access to military history centered on the history of the war. Therefore, in order to properly recognize the history of the three countrie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East Asian world in the 7th century, precise military historical considerations must be conducted. This can be said to be the fundamental significance of military historical considerations.
목차
Ⅰ. 머리말
Ⅱ. 군사사를 통한 역사의 이해
Ⅲ. 삼국통일전쟁의 군사사적 의의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원문화연구 제33집 목차
- 삼국통일전쟁의 軍事史的 연구와 역사적 함의
- 삼국통일전쟁기 김유신의 전략과 전술
- 나당군사동맹의 체결 시점 재고
- 666-667년 고구려-당 전쟁의 전황
- 나당연합군과 백제의 전쟁
- 나당전쟁기 고구려 백수성의 위치에 대하여
- 신라의 삼국통일 전후처리와 통일인식
- 신라 한주 관방시설 정비의 군사사적 의미
- 670년대 이후 고구려 유민과 신라·당 관계
- 삼국통일 후 신라 6정·10정의 재편과 운용
- 한성기 백제 지방성으로서의 충주 장미산성 검토
- 문화유산으로서의 선사시대 유적 활용 방안 검토 - 부여 송국리유적을 대상으로
- 남한지역 무기단식 적석묘의 전개양상과 축조집단에 대하여
- 신라의 報德國 경략과 一統 이념
- 신라 中·下代 전국 도로망과 지역 네트워크
- 충북의 철도 노선 변화와 도시공간구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