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유산으로서의 선사시대 유적 활용 방안 검토 - 부여 송국리유적을 대상으로
이용수 29
- 영문명
- A Study about the utilization of prehistoric sites as cultural heritage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 저자명
- 이기성(Ki-sung Yi)
- 간행물 정보
- 『중원문화연구』제33집, 309~33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문화유산의 조사, 보존에 초점을 맞추었던 2000년대 이전과 달리, 2000년대 이후에는 문화유산의 활용이 주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논의는 매장유산이 중심이 되는 고고유적 역시 마찬가지로, 발굴 조사 이후 보존된 고고유적을 어떠한 방식으로 정비, 보존,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최근 다양한 논의가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고고유적의 활용에 대한 논의는 아직까지 활용의 원칙, 목적, 방향성 등 이론적인 부분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다루는 적은 연구 역시 고분 등의 역사시대 유적을 그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역사시대 유적과 선사시대 유적의 유구 종류와 잔존 상황의 차이에 그 이유가 있을 것이다. 고분이나 성곽, 건물지 등으로 대표되는 역사시대 고고유적은 지표상에 가시적인 유구가 존재하고 있어, 부분적이라도 유적의 당시 모습, 경관 또는 성격 등을 어느 정도 유추할 수 있다. 그러나 구석기시대에서 초기철기시대까지의 선사시대 유적은 대부분 지표상에 잔존한 구조물은 없으며, 또한 발굴조사가 완료된 후 그 역사적·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보존되거나 또는 사적으로 지정되면 유구의 보호를 위해 복토되어 지형만 남겨져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기에 활용의 범위가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본고에서는 부여 송국리유적의 가치에 바탕을 둔 활용 방안을 검토하였다. 우선 선사시대유적의 보존과 활용 방안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정리한 후, 일본 선사시대 유적의 활용 사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송국리유적의 기존 활용 사례를 검토하고 도작농경이라는 송국리유적의 역사적·학술적 가치를 전할수 있는 활용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Unlike before the 2000s, when the focus was on the investigation and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th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has come to the fore as a major issue since the 2000s. Such discussions are also the case with archaeological sites centered on buried heritage, and various discussions have recently been attempted on how to preserve and utilize archaeological sites preserved after excavation.
However, discussions on the utilization of archaeological sites are still primarily theoretical, dealing with the principles, purpose, and directionality of utilization, and a few studies that deal with concrete utilization plans also target archaeological sites from the historical period such as ancient tombs. This may be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relics and their remaining situations between archaeological sites from the historical period and prehistoric sites. In the case of archaeological sites from the historical period represented by ancient tombs, castles, building sites, etc., visible relics exist on the ground surface, so that the appearances, landscapes, or natures of the sites at the time can be inferred, although only partially. However, most prehistoric sites from the Paleolithic Age to the Early Iron Age have no structures remaining on the ground surface, and furthermore, in cases where their historical and academic value is recognized after the excavation investigation is completed and thus they are preserved or designated as historic sites, they are generally covered with soil to protect the relics, leaving only the terrains so that the scope of utilization of them cannot but be very limited.
In this paper, the utilization plan for the Songguk-ri site in Buyeo is examined. First,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plan for prehistoric sites are theoretically reviewed, and thereafter, the cases of utilization of prehistoric sites in Japan are examined. Then, the existing case of utilization of the Songguk-ri site in Buyeo is examined, and thereafter, a utilization plan that can take advantage of rice farming, which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Songguk-ri site, is proposed.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문화유산으로서의 선사시대 유적의 보존과 활용
Ⅲ. 일본 선사시대 유적의 활용 프로그램 사례
Ⅳ. 부여 송국리유적의 활용 프로그램에 대한 제안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원문화연구 제33집 목차
- 삼국통일전쟁의 軍事史的 연구와 역사적 함의
- 삼국통일전쟁기 김유신의 전략과 전술
- 나당군사동맹의 체결 시점 재고
- 666-667년 고구려-당 전쟁의 전황
- 나당연합군과 백제의 전쟁
- 나당전쟁기 고구려 백수성의 위치에 대하여
- 신라의 삼국통일 전후처리와 통일인식
- 신라 한주 관방시설 정비의 군사사적 의미
- 670년대 이후 고구려 유민과 신라·당 관계
- 삼국통일 후 신라 6정·10정의 재편과 운용
- 한성기 백제 지방성으로서의 충주 장미산성 검토
- 문화유산으로서의 선사시대 유적 활용 방안 검토 - 부여 송국리유적을 대상으로
- 남한지역 무기단식 적석묘의 전개양상과 축조집단에 대하여
- 신라의 報德國 경략과 一統 이념
- 신라 中·下代 전국 도로망과 지역 네트워크
- 충북의 철도 노선 변화와 도시공간구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