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한지역 무기단식 적석묘의 전개양상과 축조집단에 대하여
이용수 23
- 영문명
- The Development Aspect and Construction Group of Non-stylobate The Stone-Mound Tomb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 저자명
- 박성현(Seong-hyeon Park)
- 간행물 정보
- 『중원문화연구』제33집, 335~35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남한지역의 무기단식 적석묘는 임진강 유역, 북한강 유역, 남한강 유역, 한강 하류 등지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이들 적석묘는 기본적으로 단독 혹은 수 기의 매장주체부가 하나의 적석 분구에 마련된 것이 특징이다. 집단묘의 경우 기존 묘곽의 한 쪽 벽면을 이용하여 새로운 묘곽을 덧대는 방식으로 조성되었다. 한 분구에 여러 기의 매장주체부가 마련되는 점과 매장주체부를 조성하고 돌을 쌓아 분구를 만들었다는 점은 고구려 적석총과 구별되는 특징이다.
남한지역 무기단식 적석묘의 기원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북한지역 자료와의 비교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그렇지만 현재로서는 각 유역의 적석묘와 인근 취락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을 통해 3세기대부터 임진강 유역에서 등장하여 점차 북한강 유역, 한강 하류, 남한강 유역으로 확산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정선 아우라지 적석묘의 경우에는 6세기대까지도 그 전통이 남아있었음이 확인된다. 무기단식 적석묘의 축조집단에 대해서는 고구려, 백제, 예, 마한 등 다양한 논의가 있었지만, 어느 특정 종족이나 집단이라고 비정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다만 적석묘가 조영되는 과정에서 백제와 신라의 중앙 문화가 유입됨에도 불구하고 적석묘 축조 전통이 유지되는 것을 보면, 백제, 신라와는 달리 무덤에 돌을 전통적으로 사용하였던 예계(濊系) 문화권의 ‘현지세력’으로 짐작해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Non-stylobate The Stone-Mound Tomb in South Korea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Imjin River basin, the Bukhan River basin, the Namhan River basin, the downstream of the Han River. These stone tombs are basically characterized by a single or several burial chambers placed in a single stone mound. In the case of group tombs, it was created by adding a new tombstone using one wall of the existing tombstone. It is distinct from Goguryeo's Jeokseokchong that there are several burial bodies in one.
The origin of the stone tombs in the South Korean region has not yet been clearly identified, and comparative research with data from the North Korean region is necessary.
However, at present, it is known that the tradition appeared in the Imjin River basin starting in the 3rd century and gradually spread to the Bukhangang River basin, the lower reaches of the Han River, and the Namhangang River basin through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stone tombs and nearby settlement sites in each basin, and in the case of the Jeongseon Auraji stone tomb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tradition continued until the 6th century.
There have been various discussions about the construction group of Non-stylobate The Stone-Mound Tombs, including Goguryeo, Baekje, Yae, and Mahan, It is not easy to pinpoint a specific race or group. However, despite the influx of the central culture of Baekje and Silla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Non-stylobate The Stone-Mound Tomb, the tradition of The Non-stylobate The Stone-Mound Tomb is maintained, Unlike Baekje and Silla, it can be assumed that it is a “local force” in the culture of Yae(濊), where stones were traditionally used in tombs.
목차
Ⅰ. 머리말
Ⅱ. 각 유역별 무기단식 적석묘의 분포 현황 및 구조적 특징
Ⅲ. 남한지역 무기단식 적석묘의 전개양상 및 축조집단 검토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원문화연구 제33집 목차
- 삼국통일전쟁의 軍事史的 연구와 역사적 함의
- 삼국통일전쟁기 김유신의 전략과 전술
- 나당군사동맹의 체결 시점 재고
- 666-667년 고구려-당 전쟁의 전황
- 나당연합군과 백제의 전쟁
- 나당전쟁기 고구려 백수성의 위치에 대하여
- 신라의 삼국통일 전후처리와 통일인식
- 신라 한주 관방시설 정비의 군사사적 의미
- 670년대 이후 고구려 유민과 신라·당 관계
- 삼국통일 후 신라 6정·10정의 재편과 운용
- 한성기 백제 지방성으로서의 충주 장미산성 검토
- 문화유산으로서의 선사시대 유적 활용 방안 검토 - 부여 송국리유적을 대상으로
- 남한지역 무기단식 적석묘의 전개양상과 축조집단에 대하여
- 신라의 報德國 경략과 一統 이념
- 신라 中·下代 전국 도로망과 지역 네트워크
- 충북의 철도 노선 변화와 도시공간구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