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나당군사동맹의 체결 시점 재고
이용수 38
- 영문명
- Reconsidering the Timing of the Conclusion of the Silla-Tang Military Alliance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 저자명
- 최희준(Hee-joon Choi)
- 간행물 정보
- 『중원문화연구』제33집, 25~4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그간 간과된 ‘人臣無外交’라는 전근대 동아시아 외교의 원칙하에 羅唐同盟의 체결 시점을 재검토하였다. 이에 기존 연구에서는 대체로 648년에 김춘추가 당 태종과 협상하여 나당동맹이 체결되었다고 파악하였으나, 본고에서는 이 시점의 재고가 필요하다 판단하였다. 648년 신라 진덕왕은 백제를 견제하기 위해 김춘추를 당으로 파견하였고, 김춘추는 당 태종과의 만남을 통해 신라와 당이 군사동맹을 맺는 방안을 논의했다. 이 동맹의 주요 목적은 고구려와 백제를 모두 평정한 후 당과 신라가 영토를 분할하는 것이었으며, 이 계획은 칙서로 작성되어 신라 진덕왕에게 전달되었다. 하지만 649년 5월 당 태종이 고구려에 대한 공격 중단을 지시하며 사망하자 당에서는 고구려에 대한 강경책을 중단하였고, 이에 나당동맹의 추진은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 그 후 당이 고구려에 소극적으로 대응하는 사이, 고구려는 당이 장악한 거란족의 영역에 영향력을 확대하며 당을 압박했고, 이로 인해 동몽골 지역에서 군사적 충돌이 발생하여 당과 고구려 간 긴장감이 다시 고조되었다. 신라는 이러한 상황을 이용해 654년 무열왕 즉위 이후 당에 나당동맹 체결을 다시 요청했고, 이에 당 고종이 긍정적으로 응하면서 마침내 나당동맹이 체결되었다.
영문 초록
In 648, Kim Chunchu of Silla visited Emperor Taizong of the Tang to seek an alliance aimed at countering Baekje. During their meeting, they discussed concluding a military alliance between Silla and Tang, intending to subdue both Goguryeo and Baekje and then divide the territories. This plan was formalized in an imperial edict, which was sent to Silla. However, in 649, Emperor Taizong passed away, leaving a command to halt the assault on Goguryeo, causing the Tang court to pause its aggressive policy toward Goguryeo, and the Silla-Tang alliance was temporarily suspended. While Tang was responding passively to Goguryeo, the latter expanded its influence over the Khitan territory controlled by Tang, intensifying pressure on Tang. As a result, around 654, military clashes erupted in the eastern Mongolian region, reigniting tensions between Tang and Goguryeo. Seizing this opportunity, Silla, under King Muyeol, renewed its request to Tang for an alliance, which Emperor Gaozong approved, finally concluding the Silla-Tang military alliance as both kingdoms’ interests aligned.
목차
Ⅰ. 머리말
Ⅱ. 648년 나당동맹의 논의와 그 내용
Ⅲ. 당 태종 사망과 동맹의 추진 중지
Ⅳ. 무열왕 즉위와 나당동맹 체결
Ⅴ.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원문화연구 제33집 목차
- 삼국통일전쟁의 軍事史的 연구와 역사적 함의
- 삼국통일전쟁기 김유신의 전략과 전술
- 나당군사동맹의 체결 시점 재고
- 666-667년 고구려-당 전쟁의 전황
- 나당연합군과 백제의 전쟁
- 나당전쟁기 고구려 백수성의 위치에 대하여
- 신라의 삼국통일 전후처리와 통일인식
- 신라 한주 관방시설 정비의 군사사적 의미
- 670년대 이후 고구려 유민과 신라·당 관계
- 삼국통일 후 신라 6정·10정의 재편과 운용
- 한성기 백제 지방성으로서의 충주 장미산성 검토
- 문화유산으로서의 선사시대 유적 활용 방안 검토 - 부여 송국리유적을 대상으로
- 남한지역 무기단식 적석묘의 전개양상과 축조집단에 대하여
- 신라의 報德國 경략과 一統 이념
- 신라 中·下代 전국 도로망과 지역 네트워크
- 충북의 철도 노선 변화와 도시공간구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