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세기 淸에서 간행된 조선 시문집
이용수 25
- 영문명
- A collection of Joseon poems published in the Qing Dynasty in the 19th century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 저자명
- 김영진(YoungJin Kim)
- 간행물 정보
- 『대동한문학』第81輯, 195~22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19세기 淸에서 간행된 조선 시문집에 대해 살핀 것이다. 18세기 후반 연행을 통한 조・청 문사 교류가 활발해 지면서 조선과 청나라의 문화・역사・문학에 대한 이해와 영향이 증진되었다. 양국의 문사가 상대방의 저작에 序跋을 써 주거나, 조선 문인이 청나라의 일류 학자・문인에게서 글과 비평, 글씨와 초상을 받는 일이 빈번하였다. 조선에서는 청 문사에게 증정할 것을 염두에 두고 저작을 간행하기도 하였는데, 19세기 洪奭周・徐有榘・南公轍 등의 사대부는 본인과 형제 및 父・祖의 저작을 직접 간행하여 교제가 있는 청나라 문사들에게 증정하였다. 또한 자신의 시문 및 先祖의 시문을 청나라 문단에 소개하고 중국에서 간행해 오는 일도 많아졌다. 19세기 후반에 이르면 청나라 문사의 저작을 조선에서 간행하는 사례도 등장하게 된다.
한국과 중국 쌍방의 교류는 양국(특히 조선)의 출판문화에 큰 영향을 끼쳐 새로운 출판문화의 양상을 띠게 되었다. 조선 문인의 문집을 중국에 기증하는 것뿐만 아니라 금석문 자료를 증정하는 일 또한 빈번해졌으며, 중국에도 널리 알려져 있던 금강산 관련 저작을 간행하고 증정하는 사례도 나타났다. 아울러 ‘(조선)叢書’・‘(조선)藝文志’・‘(조선)詩文選集’의 편찬 역시 청조 문사들의 적극적인 호응에 힘입어 더욱 활발해졌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examines the collection of Joseon poems published in the 19th century. In the late 18th century, exchanges of Joseon-the Qing Dynasty culture and literature through Joseon missions to Imperial China became active. Thus, the understanding and influence of culture, history, and literature in Joseon and the Qing were enhanced. Literary men from both countries often wrote preface or epilogue on the other's works, and Joseon writers often received writing, criticism, calligraphy, and portraits from top scholars and writers of the Qing Dynasty. In Joseon, works were published with the intention of presenting them to Qing writers. For example, in the 19th century, the Hong Seok Joo, Seo Yoo Gu, Nam Gong Chul published the works of themselves, brothers, father and grandfather and presented them to literary men of the Qing Dynasty. In addition, many people introduced their own poems and poems of forefathers to the literary world of the Qing Dynasty and published them in China. In the late 19th century, cases in which the works of Qing writers were published in Joseon also appeared. The exchange between Joseon and Qing greatly influenced the publishing culture of both countries (especially Joseon) and took on the form of a new publishing culture. Donating literary works of Joseon writers or presenting epigraph materials became more frequent. There were also cases of publishing and presenting works related to Geumgang Mountain, which were widely known in China. In addition, the compilation of Joseon's “collection of books”, “inventory” and “literal collection” became more active thanks to the active response of Qing writer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중국에서의 조선 시문집 간행 배경
3. 19세기 淸에서 간행된 조선 시문집
4. 남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보고사
- 京都大學出版部
-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한국한문학연구 6
- 19세기 조선 지식인의 문화지형도
- 한국학논집 53
- 고전과 해석 17
- 동아시아 고전학의 안과 밖
- 한문학논집 69
- 한국학논집 37
- 한문학연구 13
- 태학사
- 한국한문학연구 24
- 한중인문학연구 7
- 한문학보 22
- 대동한문학 34
-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태동고전연구 25
- 진단학보 65
- 문헌과해석 58
- 한국한문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문
- 인문과학논집 21
- 어문연구 37
- 온지논총 42
- 한국문화 45
- 고전문학연구 40
- 한국한시연구 23
- 반교어문연구 48
- 대동문화 연구 90
- 동아시아의 문헌 교류 -16~18세기 한・중・일 서적의 전파와 수용
- 문학동네
- 동양고전연구 25
- 學苑出版社
- 아카데미하우스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