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기본교육과정에 포함된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 요소 분석
이용수 96
- 영문명
- Analysis of the content elements related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included in the 2022 revised basic education curriculum
- 발행기관
-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예다나(Yedana Lee) 고혜정(Hyejung Koh)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논집』제29권 제3호, 271~30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이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2022 개정 기본교육과정을 분석하고 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과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분석틀을 개발한 뒤, 국어, 사회, 과학, 실과 교과목의 교육과정 중 목표, 성취기준, 방법과 평가 영역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022 개정 기본교육과정은 총론 및 각론에서 생태환경 변화, 기후 위기 등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필요성을 명시하고 있음에 따라, 성취기준과 성취기준 해설 등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과 관련된 내용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었다. 둘째, 국어, 과학, 사회, 실과를 분석한 결과, 과학과 실과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많이 다루어져 다소 편중되어져 있었다. 셋째, 2022 개정 기본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은 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 중 일부와의 연계성을 나타냈다. 넷째, 분절적 접근이 아니라 통합적 접근으로 다른 교과와의 성취기준을 연계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수업 설계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특수교육 현장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를 둔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oundational research aimed at equipping students with special needs with the capabilities to practic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and to develop strategies to support this. The study analyzes the 2022 revised basic education curriculum and examines its connection with the content of school-base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Method: To achieve this, two experts collaborated to create and use an analysis framework. The 2022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was analyzed based on ESD, UNESCO (2014) standards, and the criteria for school-based ESD. Results: First, the 2022 revised basic education curriculum explicitly states the necessity of ESD in its general and subject-specific guidelines, particularly in response to ecological environmental changes and the climate crisis. Accordingly, the curriculum’s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ir explanations contain specific content related to ESD. Second, analyzing subjects such as Korean, Science, Social Studies, and Practical Arts revealed that ESD-related content was more extensively covered in Science and Practical Arts, albeit somewhat disproportionately. Thir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basic education curriculum showed a certain degree of connection with the content of school-based ESD. Lastly, an integrated approach, rather than a fragmented one, was found to enable the design of lessons on ESD by linking achievement standards across different subjects.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provides foundational data that can be used to implement ESD 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by analyz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basic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content of school-based ES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논집 제29권 제3호 목차
-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요소 탐색
- 지체장애 특수학교에서의 스마트기기 활용 및 교사 인식 현황
- 성인 시각장애인과 청각장애인의 평생교육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 G 광역시를 중심으로
- 장애·위험군학생의 5-생애핵심역량 기반 생활관리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모형 개발
- 도서 벽지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특수교육 실행 경험과 요구: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 지방 중·소도시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의 어휘 및 읽기 발달 현황
- 초등학교 특수학급에서 진로교육을 가르치는 저경력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 형성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발달장애인의 자립 의사 정도와 자립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장애학생 보호자 지원 전달 체계에 대한 연구
- 수어능력 평가제도의 등급 체계 비교 연구
- 장애학생 개별화교육계획(IEP) 참여 중재 관련 국내외 연구 동향 고찰
- 2022 개정 기본교육과정에 포함된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 요소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광합성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도 개념과 학생의 획득 개념 사이의 개념 네트워크 분석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과학 탐구 수업 구성 모델 개발
- Identification of Brain Activity Pattern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n Metaverse-based Ecosystem: An fNIRS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