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체장애 특수학교에서의 스마트기기 활용 및 교사 인식 현황
이용수 15
- 영문명
- Current Status of Smart Device Utilization and Teacher Recognition in Special Schoo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창호(Chang-Ho Kim) 박재국(Jea-Kook Park)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논집』제29권 제3호, 55~7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지체장애 특수학교 교사가 지체장애 학생 교육을 위해 얼마나 스마트기기를 활용하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고, 스마트기기 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사항을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지체장애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115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학생 실태, 스마트기기의 활용 정도, 스마트기기 활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학생특성 및 활용실태의 빈도분석과 교사 변인과 스마트기기 활용을 교차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체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상당 수가 동기유발을 목적으로 주 3회 이상 스마트기기를 수업에 활용하고 있으며, 동영상 콘텐츠를 주로 활용하였다. 스마트기기가 지체장애학생 교육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의사소통과 여가활용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았다. 우선적으로 개선해야할 사항으로는 다양한 콘텐츠의 개발과 스마트기기에 대한 접근성 개선을 꼽았다. 결론: 지체장애 학생들을 위한 스마트기기 활용을 위해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며, 스마트기기에 대한 지체장애 학생들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지체장애학생들의 교육적 요구에 맞는 스마트기기 활용 연수가 필요하고, 스마트기기를 AAC 기기로 적극 이용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We want to understand the level of sensory movement and AAC use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how much special teachers use smart devices for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requirements of education using smart devices. Method: For 115 special teachers working at special schoo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students' sensory performanc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kills, smart device usage, and perception of smart device usage were investigated. For frequency analysis of student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status, and cross-analysis of teacher variables and smart device use, Excel 2021 and SPSS 27.0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Results: The degree of moderate disability was confirmed in physical disabilities special schools. It was found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teachers in special schoo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use smart devices in class at least once a week, often for motivation purposes, and mainly use video content. Smart devices are recognized as helpful and they are expected to be effective in communication and leisure use. They asked development of various contents and improvement of access to smart device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contents at the national level to use smart device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several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o smart devices. Customized teacher training for guidance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support for active use of smart devices as AAC are need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논집 제29권 제3호 목차
-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요소 탐색
- 지체장애 특수학교에서의 스마트기기 활용 및 교사 인식 현황
- 성인 시각장애인과 청각장애인의 평생교육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 G 광역시를 중심으로
- 장애·위험군학생의 5-생애핵심역량 기반 생활관리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모형 개발
- 도서 벽지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특수교육 실행 경험과 요구: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 지방 중·소도시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의 어휘 및 읽기 발달 현황
- 초등학교 특수학급에서 진로교육을 가르치는 저경력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 형성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발달장애인의 자립 의사 정도와 자립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장애학생 보호자 지원 전달 체계에 대한 연구
- 수어능력 평가제도의 등급 체계 비교 연구
- 장애학생 개별화교육계획(IEP) 참여 중재 관련 국내외 연구 동향 고찰
- 2022 개정 기본교육과정에 포함된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 요소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