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공계열 대학원생의 진학 동기, 연구 참여 경험 및 진로에 관한 질적 연구
이용수 44
- 영문명
- Qualitative Research on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 Graduate School Students’Motivation for Pursuing Graduate Degrees, Experiences in Research, and Career Goal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전수빈(Sue Bin Jeon) 배상훈(Sang Hoon Bae)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2권 제5호, 143~17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가 차원에서 이공계열 우수 인재, 즉, 석·박사급 인재의 양성과 확보가 중요한 산업적 요구이자 정책 의제가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이공계열 대학원의 경우 학생들이 무엇을 기대하고 대학원에 진학하였는지, 대학원 생활의 핵심으로서 전공지식 함양과 연구력 증진을 위해 참여한 연구 활동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를 파악하고, 그들의 진로에 끼친 영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공계열 일반대학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진학 동기와 대학원에 대한 기대를 살펴보고, 연구 활동에 참여하면서 겪은 다양한 경험과 고충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며, 그러한 대학원 경험들이 졸업 후 진로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이공계열 일반대학원에 재학 중인 석·박사과정 학생 14명을 대상으로 대학 소재지, 학교 유형을 기준으로 나누어 표적 집단 면담(Focus Group Interview)을 시행하고, 질적 연구 방법에 따라 연구 결과를 심층 해석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공계열 대학원으로의 진학을 촉진하고, 핵심적인 대학원 경험이라고 할 수 있는 연구 활동에 더욱 몰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importance of securing top talent in the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particularly those with master's and doctoral degrees, is growing nationwide. However, there has been relatively little academic research on why these individuals choose to pursue graduate education and what they expect from their experience in general graduate schools, compared to other higher education topic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otivations for entering graduate school, the research experiences of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in general graduate schools, and the various challenges and positive experiences they encounter during their research participation. It also examines the career paths they are considering after obtaining their degree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4 master's and doctoral students in the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selected based on university location and school type. These interviews provided insights into the motivations and expectations of these graduate students, their concerns about entering graduate school, their research experiences, and their career plans post-graduation. The findings were organized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inally, based on the study's results, we propose measures to encourage more students to pursue graduate education in science and engineering and to support them in focusing on their research during their studie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외 교원역량 모델 변화 동향 분석
- 열린교육연구 제32권 제5호 목차
- 중등 국어과 교사 대상 교과 직무연수 내용 개발과 요구 분석 - 강원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 정부 저출생 추세 반전 대책에서 교육·돌봄 정책에 대한 부모 인식 분석
- K대학교 온·오프라인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프로그램 및 참여 혜택 인식, 교과목 다양성 판단을 중심으로
- G시의 장애인 평생교육 참여 주체별 FGI를 통한 발전 방안 탐색
-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경험과 성과 탐색
- 통합사회 교과서의 텍스트 이독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국제자원활동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이공계열 대학원생의 진학 동기, 연구 참여 경험 및 진로에 관한 질적 연구
- 교수자의 관점에서 본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도구의 타당도와 중요도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