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G시의 장애인 평생교육 참여 주체별 FGI를 통한 발전 방안 탐색
이용수 44
- 영문명
- Exploring Development Strategies for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FGIs by Stakeholder Group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연(Jeongyoun Kim) 허유성(Yusung Heo) 표윤희(Yun hui Pyo)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2권 제5호, 119~14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장애인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국가와 지자체의 역할과 책무성이 강화됨에 따라 평생교육 정책과 교육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G시의 장애인 평생교육의 발전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실행한 연구이다. 장애인 평생교육의 발전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참여 주체별로 총 20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focus group interviews; FGI)을 진행하였다. 면담은 장애인 당사자와 가족, 실무자, 평생교육 전문가(특수교육 분야, 일반교육 분야) 등 참여 주체별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각 면담은 약 120분씩 진행되었으며, 면담 후에 전사된 자료는 지속적 비교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총 4개의 대주제, 19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장애인 평생교육의 질을 제고하고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첫째, 장애인 평생교육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공동체의 공존 역량을 강화하여 이를 통합하고 연계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일자리 연계형, 장애 유형 및 정도, 생애주기 특성을 고려한 유연한 운영 체계를 구축하여 개인의 선택을 강화하는 맞춤형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지자체는 장애인 평생교육에서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기관 발굴 및 교육 여건 개선, 접근성 향상, 전문인력 확보를 위한 조치를 마련해야 한다. 넷째, 관계 기관 간 네트워크 시스템을 활성화하고, 홍보, 지원 인력, 예산 및 성과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 지원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연구 결과에서 도출된 요구는 주체별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종합적인 발전 방안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development strategies for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living in City G, in response to the increased importance of such education and the enhanced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To investigate these development strategie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participants, divided by stakeholder groups. The interviews were carried out separately with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practitioners, and lifelong education experts (special education field, general education field). Each interview lasted approximately 120 minutes, and the transcrib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The study resulted in four main themes and 19 sub-themes. To improve and revitalize the quality of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everal key actions are necessary. First, it is crucial to secure the identity of disability lifelong education and develop a plan to integrate and link it by enhancing community coexistence capabilities. Second, a flexible operational system must be established that considers job-related aspects, types and degrees of disability, and life cycle characteristics, in order to provide customized education that strengthens individual choice. Third, local governments need to clearly define their role in disability lifelong education and implement measures to discover institutions, improve educational conditions, enhance accessibility, and secure professional personnel. Fourth, it is essential to activate the network system among related organizations and establish a support framework that includes publicity, support personnel, budgeting, and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s. The demands derived from the research are closely linked to each participant, and based on this, comprehensive development strateg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외 교원역량 모델 변화 동향 분석
- 열린교육연구 제32권 제5호 목차
- 중등 국어과 교사 대상 교과 직무연수 내용 개발과 요구 분석 - 강원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 정부 저출생 추세 반전 대책에서 교육·돌봄 정책에 대한 부모 인식 분석
- K대학교 온·오프라인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프로그램 및 참여 혜택 인식, 교과목 다양성 판단을 중심으로
- G시의 장애인 평생교육 참여 주체별 FGI를 통한 발전 방안 탐색
-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경험과 성과 탐색
- 통합사회 교과서의 텍스트 이독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국제자원활동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이공계열 대학원생의 진학 동기, 연구 참여 경험 및 진로에 관한 질적 연구
- 교수자의 관점에서 본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도구의 타당도와 중요도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