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수학능력시험 EBS 연계의 법적 쟁점 분석: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중심으로
이용수 13
- 영문명
- An Analysis on the Legal Issues of the EBS-Linked KSAT Policy: Focusing on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 발행기관
- 대한교육법학회
- 저자명
- 김리나(Lina Kim) 엄문영(Moonyoung Eom)
- 간행물 정보
- 『1. 교육법학연구』제36권 제2호, 175~20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17헌마691 판례를 바탕으로 EBS-수능연계와 관련한 헌법재판소의 결정 논리를 살펴보고, 법적 쟁점에 대한 법리의 합당성을 판례분석과 문헌분석을 통해 검토하였다. 판례에서 EBS-수능연계 대한 쟁점은 교육제도에 관한 입법형성권, 목적의 정당성과 수단의 적절성, 침해 최소성, 법익 균형성으로 정리되었다. 문헌분석 결과 교육제도에 대한 입법형성권과 목적의 정당성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결정은 합당하다고 판단되었다. 하지만 수단의 적절성과 침해 최소성, 그리고 법익의 균형성에 대한 결정은 합당하지 않은 부분이 있어 재고될 여지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학교교육을 정상화하고 사교육비를 낮추기 위해 시행되어 온 EBS-수능연계 정책에 대한 헌재 첫 결정의 법리를 검토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EBS-수능연계 제도의 실질적인 개편 방안과 다른 대안책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logic of the 2017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on the EBS-Linked KSAT policy and evaluates the reasonableness of the legal issues through case analysis and literature review. The legal issues of the EBS-Linked KSAT policy were summarized as the right to formulate legislation on the education system, the legitimacy of the purpose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means, the minimization of infringement, and the balance of legal interest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s on the right to formulate legislation on the education system and the legitimacy of the purpose were found to be reasonable. However, the decisions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means, the minimization of infringement, and the balance of legal interests were found to be open to reconsider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examination of the jurisprudence surrounding the Constitutional Court's first decision on the EBS-Linked KSAT policy, which has been implemented to normalize school education and lower the cost of private education. It is recommended that practical reforms to the EBS system and other alternative measures be consider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헌법재판소 결정 논리
Ⅴ. 헌법재판소 결정에 나타난 법리 검토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 시대와 축소사회 도래에 따른 고등교육법 개정방향 연구
- 이주 배경 학생 대상 공용어 교육 법제도 비교 분석 : 미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교육당사자의 법적 갈등 양상 분석: 초등학교 판례를 중심으로
- 교육발전특구의 법적 쟁점과 과제
- 학교자치 입법정신의 규명과 제도보장 분석
-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교육 혁신과 입법적 대응전략
- 특별자치와 교육자치의 쟁점: 4개 시·도 특별자치법을 중심으로
- 학교 내 성중립화장실 설치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 미국 사례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 교권보호를 위한 공무상 재해의 증명책임 전환 규정 필요성에 대한 고찰 - 교권침해로 인한 교사들의 자해행위 사례들과 업무상 재해의 증명책임에 대한 대법원과 헌법재판소의 각 입장을 중심으로
- 대학수학능력시험 EBS 연계의 법적 쟁점 분석: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 관련 법의 연혁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일반 노인의 이야기 회상 수행력: 자극 양식, 연령 집단 및 수행 시점에 따른 차이
- 언어장애 동반 유무에 따른 말소리장애 아동의 음운기억 과제 수행 특성
- 정상압수두증과 파킨슨병 환자의 이야기 정보인출 수행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