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별자치와 교육자치의 쟁점: 4개 시·도 특별자치법을 중심으로

이용수 37

영문명
Issues of Special Autonomy and Educational Autonomy : Focusing on the Special Autonomy Acts of the Four Cities and Provinces
발행기관
대한교육법학회
저자명
이병현(Byunghyun Lee)
간행물 정보
『1. 교육법학연구』제36권 제2호, 69~9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는 일반행정 중심의 지방분권과 행정사무의 지방이양이 이루어져 왔고, 이러한 행태는 최근 새롭게 도입되고 있는 특별자치 분야에서도 유사한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2006년에 출범한 제주특별자치도를 비롯하여, 세종특별자치시, 강원특별자치도, 전북특별자치도에서 일반행정 중심의 시각에서 특별자치 제도가 설계되고 도입되고 있다. 특별자치시·도 주요 사무에 대한 시·도지사와 교육감의 역할 및 권한을 살펴보면, 도지사에게 권한이 집중되어 있다. 우리 헌법은 교육자치를 인정하고 있고, 교육감은 일반행정 집행기관인 도지사와 사무의 영역에서만 구분될 뿐, 상호 수평적이고 대등한 관계에서 동일한 지위를 가진다. 따라서 일반행정의 집행기관인 도지사와 교육행정의 집행기관인 교육감이 상호 협력적·수평적 거버넌스를 통해 특별자치를 실시하는 것이 ‘특별자치’, ‘교육자치’가 추구하는 이념과 본질에 부합된다고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our country, decentralization centered on general administration and delegation of administrative affairs to local governments have been implemented, and this trend is continuing in the special self-governing sector that has been newly introduced recently. Including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hich was introduced in 2006, and Gangwon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Jeonbuk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hich were launched relatively recently, special self-governing systems are being designed and introduced from a general administration-centered perspective. If we look at the roles and authority of the governor and superintendent of education for major affairs of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s, the authority is concentrated in the governor. Our constitution recognizes educational autonomy, and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is only distinguished from the governor, who is the general administrative executive agency, in the area of affairs, but has the same status in a horizontal and equal relationship.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mplementing special autonomy through mutually cooperative and horizontal governance by the governor, who is the general administrative executive agency, and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who is the educational administrative executive agency, is in line with the ideology and essence pursued by ‘special self-governing’ and ‘educational autonom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Ⅲ. 특별자치와 교육자치 쟁점 현황
Ⅳ. 교육자치 회복을 위한 입법 과제
Ⅴ. 맺는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병현(Byunghyun Lee). (2024).특별자치와 교육자치의 쟁점: 4개 시·도 특별자치법을 중심으로. 1. 교육법학연구, 36 (2), 69-91

MLA

이병현(Byunghyun Lee). "특별자치와 교육자치의 쟁점: 4개 시·도 특별자치법을 중심으로." 1. 교육법학연구, 36.2(2024): 69-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