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교육 혁신과 입법적 대응전략
이용수 44
- 영문명
- Generative AI-based Education Innovation and Legislative Response Strategies
- 발행기관
- 대한교육법학회
- 저자명
- 이형석(Hyeong Seok Lee)
- 간행물 정보
- 『1. 교육법학연구』제36권 제2호, 93~12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생성형 인공지능의 발전은 교육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 맞춤형 학습 자료 제작, 창의적 콘텐츠 생성, 언어 학습 지원 등 교육 분야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의 적용은 교육의 개인화와 질적 향상을 가시화학 있다. 다양한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은 이미지, 음성, 텍스트 생성 등 다방면에서 혁신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 기술들은 교육에서 학습 경험을 극대화하고, 학습자 중심의 교육 환경 구현을 가능하게 하며, 교육의 글로벌화를 촉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이 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잠재적 변화를 탐색하며, 이 기술의 교육 분야 적용을 위한 대응전략을 다양하게 검토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Advances in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GAI) are changing the paradigm of higher education. Whether it's creating personalized learning materials, generating creative content, or supporting language learning, the application of GAI technologies in education is helping to personalize and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 variety of GAI technologies are making breakthroughs in image, speech, and text generation. These technologies are maximizing the learning experience in higher education, enabling learner-centered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facilitating the globalization of educ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and potential changes of GAI technologies on higher education and examines various strategies for their applic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교육분야에서 생성형 인공지능의 활용
Ⅲ. GAI 기술에 의한 교육적 변화와 법적 과제
Ⅳ.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 시대와 축소사회 도래에 따른 고등교육법 개정방향 연구
- 이주 배경 학생 대상 공용어 교육 법제도 비교 분석 : 미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교육당사자의 법적 갈등 양상 분석: 초등학교 판례를 중심으로
- 교육발전특구의 법적 쟁점과 과제
- 학교자치 입법정신의 규명과 제도보장 분석
-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교육 혁신과 입법적 대응전략
- 특별자치와 교육자치의 쟁점: 4개 시·도 특별자치법을 중심으로
- 학교 내 성중립화장실 설치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 미국 사례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 교권보호를 위한 공무상 재해의 증명책임 전환 규정 필요성에 대한 고찰 - 교권침해로 인한 교사들의 자해행위 사례들과 업무상 재해의 증명책임에 대한 대법원과 헌법재판소의 각 입장을 중심으로
- 대학수학능력시험 EBS 연계의 법적 쟁점 분석: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 관련 법의 연혁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AI-생성동화를 활용한 개별 맞춤형 책읽기 활동이 미취학 아동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 기계학습을 활용한 영유아 온라인 언어 선별검사의 응답 성실도 탐지 연구
- 구조주의와 수학교육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