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시대와 축소사회 도래에 따른 고등교육법 개정방향 연구
이용수 71
- 영문명
- A Study on the Directions for Amending Higher Education Act in Response to the Digital Era and the Emergence of a Contracting Society
- 발행기관
- 대한교육법학회
- 저자명
- 이형석(Hyeong-Seok Lee) 장덕호(Deok-Ho Jang) 이덕난(Deok Nan Lee) 황준성(Jun Seong Hwang) 김종규(Jong Gyu Kim) 손다운(Da Un Son)
- 간행물 정보
- 『1. 교육법학연구』제36권 제2호, 121~15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1세기는 디지털 혁명과 급격한 인구 변화가 사회 구조와 기능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시대이다. 이러한 변화는 고등교육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재평가를 요구하며, 고등교육법의 개정 필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디지털 혁명의 시대에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의 발전은 교육의 접근성과 방식, 내용 모두에 혁신적인 변화를 초래했다. 특히 COVID-19 팬데믹은 원격 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극명하게 보여주었다. 그러나 현행 고등교육법은 전통적인 교육 방식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급변하는 교육 환경에 대한 유연한 대응이 부족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디지털 교육 인프라 강화, 온라인 교육의 질 관리, 개인정보 보호 및 사이버 보안 강화 등의 법적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인한 지역소멸은 고등교육의 새로운 도전 과제이다. 많은 대학이 학생 수 감소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특히 지역대학의 상황이 심각하다. 지역 특성에 맞춘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지역 연계 교육 강화, 고령화를 고려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도입 등이 요구된다. 또한, 대학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산학협력을 촉진하여 지역 경제와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본 논문은 고등교육법의 개정 방향으로 디지털 혁명과 인구 변화에 대한 법적 대응 방안을 제시하며, 대학의 자율성 강화, 평생교육 활성화, 산학협력 촉진 등의 전략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고등교육이 사회적 요구를 충족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적,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21st century is an era where the digital revolution and rapid demographic changes significantly impact social structures and functions. These changes necessitate a reevaluation of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higher education, highlighting the need for amendments to higher education laws. In the era of the digital revolution, advancement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rtificial intelligence (AI), big data,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have brought about revolutionary changes in the accessibility, methods, and content of education. The COVID-19 pandemic, in particular, has starkly demonstrated the necessity and potential of remote education. However, current higher education laws are predominantly structured around traditional educational methods, lacking the flexibility to adapt to the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To address this, it is essential to strengthen digital education infrastructure, ensure the quality of online education, and establish legal grounds for enhancing privacy protection and cybersecurity.
The challenges posed by demographic decline and aging, leading to regional extinction, present new issues for higher education. Many universities are struggling with reduced student numbers, and the situation is particularly dire for regional universities. There is a need for developing customized educational programs tailored to regional characteristics, strengthening regional cooperative education, and implementing lifelong education programs considering aging populations. Additionally, ensuring the autonomy of universities and promoting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are crucial for universities to contribute to regional economies and societies.
This paper proposes directions for amending higher education laws in response to the digital revolution and demographic changes. It suggests strategies such as enhancing university autonomy, promoting lifelong education, and fostering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By doing so, it aims to establish the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s necessary for higher education to meet societal demands and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최근 사회변화의 특징과 고등교육법의 한계
Ⅲ. 고등교육법 개정안 제안
Ⅴ.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 시대와 축소사회 도래에 따른 고등교육법 개정방향 연구
- 이주 배경 학생 대상 공용어 교육 법제도 비교 분석 : 미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교육당사자의 법적 갈등 양상 분석: 초등학교 판례를 중심으로
- 교육발전특구의 법적 쟁점과 과제
- 학교자치 입법정신의 규명과 제도보장 분석
-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교육 혁신과 입법적 대응전략
- 특별자치와 교육자치의 쟁점: 4개 시·도 특별자치법을 중심으로
- 학교 내 성중립화장실 설치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 미국 사례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 교권보호를 위한 공무상 재해의 증명책임 전환 규정 필요성에 대한 고찰 - 교권침해로 인한 교사들의 자해행위 사례들과 업무상 재해의 증명책임에 대한 대법원과 헌법재판소의 각 입장을 중심으로
- 대학수학능력시험 EBS 연계의 법적 쟁점 분석: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 관련 법의 연혁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일반 노인의 이야기 회상 수행력: 자극 양식, 연령 집단 및 수행 시점에 따른 차이
- 언어장애 동반 유무에 따른 말소리장애 아동의 음운기억 과제 수행 특성
- 정상압수두증과 파킨슨병 환자의 이야기 정보인출 수행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