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공지능교육 활성화 준비 요소에 대한 초중등 교사의 인식

이용수 138

영문명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s' perceptions of readiness factors for enabling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A discussion board analysis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권성연(Soungyoun Kwon)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40권 제4호, 291~31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7.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분석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인공지능교육이 실질적인 교육 성과를 산출하고 미래지향적인 교수학습환경으로 정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대학원에 재학하면서 ‘인공지능과 뉴미디어’ 전공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46명의 초중등 교사들이학교 교육 현장에서 인공지능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한 준비 요소에 대한 주제를 놓고 온라인 게시판에자유롭게 올린 196개의 토론 메시지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공지능교육 활성화를 위한 준비 영역으로 교사, 학생, 학교 환경,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정부정책 및 지원 등이 제시되었으며, 그 하위의 세부 요소가 도출되었다. 교사 영역에서는 교사의 인공지능교육역량 향상 지원, 교사의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관심 제고 및 인식 전환, 학생 영역에서는 기초 정보화 교육과종합적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시행, 미래 사회를 대비한 기반 역량 강화 교육, 학교 환경 영역에서는인공지능교육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 및 관리, 교사의 업무 환경 개선,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영역에서는교육과정, 교수학습모형과 자료, 사례 개발 및 보급,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으로의 변화, 정부 정책 영역에서는 종합적인 인공지능교육 정책 마련, 사용자 정보 및 권리 보호, 윤리기준 구체화등이 포함되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학교 현장의 인공지능교육 활성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교사가 인식하는 인공지능교육 준비 요소를 종합적으로 도출하였다. 인공지능교육 활성화의 핵심 영역과 요소들은 인공지능교육정책 수립에 참고할 수 있을 것이며 학교 교육에서 효과적인 인공지능 활용 방안을 탐색하는데에 유용한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ers' perceptions of what should be prepared for the activation of A.I. education, so that A.I. education can produce substantive educational results and be established as a future-oriented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in schools. Methods: A qualit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of 196 discussion messages freely posted on an online bulletin board by 46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a graduate cours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New Media’, in response to the discussion topic: ‘Discuss what needs to be in place to facilitate the teach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schools’. Results: The areas of readiness for the promotion of AI education were presented as teachers, students, school environment,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and government policies and support, and sub-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the area of teachers, the study included supporting teachers to improve their competence in AI education, raising teachers' interest in AI education and changing their perceptions; in the area of students, the study included implementing comprehensive digital literacy education, and strengthening competencies for the future society; in the area of school environment, the research included constructing and managing infrastructure necessary for AI education and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of teachers; in the area of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it included developing and disseminating curricula, providing teaching models, materials and successful cases for AI education, and shifting to learner-centered teaching and assessment; in the area of government policy, the study included preparing a comprehensive AI education policy, protecting user information and rights, and specifying ethical standards. Conclusion: This study comprehensively derived the preparation factors for AI education as perceived by teachers, which play a key role in activating AI education in schools. The key areas and factors for activating AI education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establishing AI education policies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xploring effective ways to use AI in school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성연(Soungyoun Kwon). (2024).인공지능교육 활성화 준비 요소에 대한 초중등 교사의 인식. 교원교육, 40 (4), 291-316

MLA

권성연(Soungyoun Kwon). "인공지능교육 활성화 준비 요소에 대한 초중등 교사의 인식." 교원교육, 40.4(2024): 291-3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