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글의 길이와 내용, 학생 상하 수준에 따른 고등학생의 문장 중요도 평정 차이
이용수 105
- 영문명
- Differences in High School Students’ Rating of Sentence Importance Depending on Text Length, Content, and Students’ Proficiency Levels (upper and lower)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박경희(Kyoung-Hee Park) 김혜림(Hye-Rim Kim) 박영민(Young-Min Park)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0권 제4호, 199~21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글의 길이와 내용, 학생 상하 수준에 따른 고등학생의 문장 중요도 평정 능력의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읽기 교수 학습 개선에 관한 정보를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경남 창원시 소재 고등학생 173명을 대상으로 글의 길이와 내용 변인에 따른 문장 중요도 평정능력을 측정하고 두 변인의 차이가 중요도 평정 능력에 미치는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문장 중요도평정 능력을 상, 하 수준으로 나누어 두 집단의 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글의 길이에 따른 학생의 중요도 평정 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글의 내용에 따른 학생의 중요도 평정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평균을기준으로 중요도 평정 능력을 상, 하 집단으로 나누어 차이 분석을 진행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보였다. 넷째, 상 집단은 긴 글보다 짧은 글에서 문장 중요도 평정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차이는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반면 하 집단의 경우에는 글의 길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않았으므로, 길이와 관계없이 문장 중요도 평정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상, 하집단 모두 내용에 따른 문장 중요도 평정 능력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효과 크기를산출하여 상, 하 집단 모두 자연 지문보다 인문 지문에서 학생의 중요도 평정 능력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고등학생의 문장 중요도 평정 능력은 글의 길이에 따른 차이는 있었으나, 내용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또한 상 수준과 하 수준의 평정 능력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났으며, 수준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보이는 변인이 달랐다. 이를 바탕으로 중요도 평정과 같은 독해 전략을 가르칠 때에는 글의 길이와 내용을학생의 수준에 맞게 조절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읽기 과정을 가시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문장 중요도평정법을 교수 학습에 적용한다면, 학생의 읽기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nalyzed differences in high school students’ rating of sentence importance depending on text length, content, and the students’ proficiency level(upper and lower), aiming to improve the teaching and the learning of reading.
Methods: A test was conducted with 173 high school students in Changwon, Gyeongsangnam province. Based on the test, a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how text length and content affect the rating of importance. Additionall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proficiency levels in rating sentence importance — upper and lower — and the effects of variables within each group were analyzed.
Results: First, text length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importance rating scores. Second, concerning conten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scores. Third, dividing participants into upper and lower proficiency groups based on the mean scor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Fourth, regarding text length, students in the upper group exhibited a superior ability to rate sentence importance in shorter passages compared to longer ones, and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trast, for the lower group,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depending on the text length. Consequently, it was determined that students in the lower group face challenges in rating sentence importance regardless of text length. Fifth, concerning conten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importance rating abilities for both upper and lower groups. Nevertheless, upon calculating effect sizes, it was discerned that students in both groups exhibited comparatively higher abilities in passages related to humanities than those related to the Natural Sciences.
Conclusion: Students’ proficiency in rating sentence importance varied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text,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concerning the content. The upper and lower groups showed a great disparity in proficiency, and the variables that caus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varied depending on the proficiency level. These findings show that it is important to adjust the length and content of texts to match students’ proficiency levels when teaching reading strategies such as sentence importance rating. Furthermore, the introduction of sentence importance rating method, which visually illustrates the reading process, into teaching and learning can contribute to enhancing students’ reading 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원교육 제40권 제4호 목차
- 인공지능교육 활성화 준비 요소에 대한 초중등 교사의 인식
- ChatGPT를 활용한 하브루타 수업의 효과
- 초등예비교사의 체육수업만족과 신체적자기개념 및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 유아교사의 사회적 초인지 역량 함양을 위한 상보적 교육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
- 교사의 목표직위가 교직단계별 교직이탈의사에 미치는 영향
- 대중문화로서 영화텍스트의 평생교육적 가능성 고찰
- 플라톤과 니체의 본래적 교육자상 탐구
-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서비스러닝의 전공 융합 및 실천공동체적 특징 분석
-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예비교사들의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 변화
- 수희는 더 배울 것이 있었을까?
- 장애인 교원의 인적지원 요구 탐색 연구
- 글의 길이와 내용, 학생 상하 수준에 따른 고등학생의 문장 중요도 평정 차이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초기 청소년의 가정에서의 경험과 변화에 대한 개념도 연구
- 정보·컴퓨터 부·복수전공 자격연수 참여 교사의 교육요구도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주체성’의 재개념화
- 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직무역량 및 삶 만족도 간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군집분석을 이용한 농촌 청년 활성화 지역 특성 분석
- 말산업 전문인력 양성기관(고등학교) 교사의 ICT 리터러시와 ICT 활용 수업 의도 관계 분석
- 영성지능이 영역초월행동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