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중문화로서 영화텍스트의 평생교육적 가능성 고찰

이용수 180

영문명
Exploring the Meaning of Film Texts as a Popular Culture for Lifelong Education: From the Public Pedagogy Perspective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강정수(Jeong su Kang) 김한별(Hanbyul Kim)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40권 제4호, 121~14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7.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대중문화를 공공교육의 관점으로 살펴보고, 특히 대중문화를 이루는 여러 장르가운데 영화가 갖는 교육적 가능성에 대해 탐구해 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해서, 영화텍스트가 어떠한 교육적 의미를 발생시키는지 파악하여 평생교육 장(場)에서의 그 역할을 제시하고, 현재 학교에서 행해지고 있는 ‘영화교육’에도 그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우리의 삶과 대중문화의 관계 그리고 그것의 평생교육 차원의 의미와 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해서 실제로 개봉한 영화 세 편을 예시로 활용하며, 이들 영화와 관련하여 나온 매체에 실린 기사와 비평문 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예시 영화들에 대해서 드러낸 관객들의 반응을 짚어보고, 영화가 불러일으킨 사회적 반향을 확인해 봄으로써 영화의 교육적 가능성을 서술했다. 연구결과 대중문화 특히 영화는 현실을 재현함으로써 대중의 무의식을 드러내면서, 동시에 관객의 비평들이 사회적인 담론으로 구성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텍스트로서의 영화는 ‘재현된 현실’로 관객으로 하여금 영화를 통한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각자의 경험과 삶의 맥락 속에서 영화의 의미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삶과 세계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수 있다. 결론 영화교육은 학습자의 삶의 맥락과 경험에 따라 그 의미가 재구성되고, 바로 이러한 의미 에서 평생교육적 의미가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평생동안 한 개인에게 일어나는 교육의 의미화는 학교교육을 포함하여 총체적으로 이루어진다. 공교육과 평생교육에서 행해지고 있는 기존의 서사분석 중심의 영화교육이 이제는 영상매체적 특징을 중요하게 다루는 방식으로 변화해야 함을 지적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amined popular culture, which is closely related to our daily lives,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pedagogy, and explored the educational possibilities of movies, especially among the various genres that make up popular culture. Based on thi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film texts were identified and this study proposes their role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as well as suggests implications for 'film education' currently practiced in schools.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relationship between our lives and popular culture and its influence were examined and a description of the audience's reactions to the movie was revealed in media articles and critical texts with three films, as well as the social repercussions of the films. Results: As a result, popular culture, especially films, reveals the public's unconscious by representing reality and also constructs discourse through the audience's critique. The study also found that films as texts enable audiences to critically reflect on “represented reality” and that their educational meaning can be interpreted in a variety of ways depending on their own experiences and life contexts. Conclusion: The meaning of film education is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learner's life context and experiences, and it is in this sense that education occurs.The meaning-making of education that occurs for an individual throughout their life is holistic, including schooling. The existing film education centered on narrative analysis in public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should be transformed into a method that emphas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lm medium.

목차

Ⅰ. 서 론
Ⅱ. 평생교육과 대중문화와의 관계
Ⅲ. 영화 텍스트의 주요 기능
Ⅳ. 학습 텍스트로서의 영화의 의의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정수(Jeong su Kang),김한별(Hanbyul Kim). (2024).대중문화로서 영화텍스트의 평생교육적 가능성 고찰. 교원교육, 40 (4), 121-144

MLA

강정수(Jeong su Kang),김한별(Hanbyul Kim). "대중문화로서 영화텍스트의 평생교육적 가능성 고찰." 교원교육, 40.4(2024): 121-1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