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아시아 이주사의 시각으로 본 난수산(蘭秀山)의 난

이용수 53

영문명
Nansusan's Rebellion from the perspective of East Asian Migration History
발행기관
한국국회학회
저자명
이빈빈(Binbin Li)
간행물 정보
『한국과 세계』제6권 4호, 633~65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7.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원명교체기에 발발한 난수산의 난은 명나라 초기 중국 동남해안 해상세력의 첫 번째 반란으로 명나라와 그 후세의 동아시아 해양정책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중국 쪽 사료에는 난수산의 난이 평정되었을 때 때까지만 기록돼 있어 반란자인 난수산민들에 대한 후속처치 결과는 오랫동안 알려지지 않았다. 20세기 말에 이르러서야 학자들은 『이문』, 『고려사』, 『고려사절요』 등 한국사료를 이용하여 난수산의 난이 진압된 후에 난수산민들이 한반도로 망명하게 된 경위를 밝혀졌다. 하지만 대부분 연구 성과는 사건 자체가 동아시아 해역의 국제정세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에 사건의 주인공인 난수산민들이 한반도에 망명하게 된 후에 정착한 ‘이주’ 속성은 크게 부각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동아시아 이주사의 시각에서 한반도에 정착한 난수산민들의 도주 행방, 인원 구성, 활동 지역, 생계 활동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들이 한반도 서남해안지역을 이주지로 선택한 이유와 이주 이후 어떻게 생활했는지를 밝혔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 이주사 연구의 새로운 역사 실마리를 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Nansusan's Rebellion, which broke out during the Yuan and Ming dynasties, as the first rebellion of the maritime forces along the southeastern coast of the early Ming Dynasty, deeply affected the maritime policy of the Ming Dynasty and even China in later times. However, the incident has remained unknown for a long time, and the details have been lost in the long river of history. Fortunately, Korean historical records such as ‘Iimun’ and ‘Goryeosa’ have left important historical details for us to understand the events that led to the Nansusan's peoples exile to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suppression of the Nansusan's Rebellion. Although some scholars have relied on these historical sources to focus on analysing the impact of the event itself o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 the East Asian seas, there remains untapped potential for further exploration. Based on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this paper attempts to analyse why the Nansusan's peoples chose the southwe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as their migration destination and how they conducted their lives after moving to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perspective of East Asian Migration History. This study is expected to add new historical clues to the study of East Asian Migration History.

목차

Ⅰ. 머리말
Ⅱ. 원명교체기의 동아시아 해역과 난수산의 난
Ⅲ. 난수산민의 도주 행방
Ⅳ. 이주민으로서의 난수산민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빈빈(Binbin Li). (2024).동아시아 이주사의 시각으로 본 난수산(蘭秀山)의 난. 한국과 세계, 6 (4), 633-659

MLA

이빈빈(Binbin Li). "동아시아 이주사의 시각으로 본 난수산(蘭秀山)의 난." 한국과 세계, 6.4(2024): 633-6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