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화 <4월 이야기>의 스토리텔링 연구

이용수 23

영문명
A Study on the Storytelling of the Film,
발행기관
한국국회학회
저자명
김삼력(Sam-Ryeok Kim)
간행물 정보
『한국과 세계』제6권 4호, 31~4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7.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영화 <4월 이야기>의 스토리텔링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작품은 러닝 타임이 일반적인 극장 영화에 비해 매우 짧고, 작품의 중심 소재에 대한 명확한 논의가 필요하다. 그리고 일반적인 영화의 스토리텔링 단계와는 매우 다른 지점에서 이야기가 진행되고, 결말에 대한 해석에 다른 견해가 있으며, 프로덕션디자인 스토리텔링이 다른 감독과 작품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은 물론 영화의 특정 시퀀스가 전체의 스토리텔링과는 별개로 존재한다는 점 때문에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연구 결과 이 작품은 스토리텔링의 비중과 로그 라인 분석 등을 통해 영화 전체의 소재가 주인공의 첫사랑에 관한 이야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영화의 도발적 사건과 드라마틱한 상황을 분석한 결과, 작품의 도발적 사건과 이에 따른 드라마틱한 상황이 일반적인 영화와는 다르게 작품의 거의 후반부에 발생하고 있었다. 이러한 특수한 이야기 구성 방식은 관객이 이야기를 이해하는 것에도 영향을 미쳐 ‘처음’에 관한 이야기가 부각되는 결과로 나타났다. 이 작품은 명백한 닫힌 결말의 구조를 갖추고 있으나, 관객의 욕망이라는 관점에서는 열린 결말로 해석할 여지도 있으며, 이런 해석에는 영화의 짧은 러닝 타임이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이 작품은 의상, 색상 등의 프로덕션디자인 스토리텔링이 주인공이 원하는 것을 강조하거나, 좋아하는 대상을 갈망하는 표현으로 쓰이거나, 열정을 드러내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이 작품의 영화 속 영화 시퀀스는 일본의 역사에 대한 이해가 없는 타국 관객에게 문화적 할인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storytelling of a film titled . As a research subject, this film was selected for several different reasons. It has a shorter running time than ordinary theater films, an accurate discussion is required on the film materials, and its story proceeds at very different points from the ordinary film storytelling stages. Besides, there are different views or interpretations on the ending, its production design storytelling has a lot of influence on other film directors and their works, and there exists a specific sequence in the film aside from the entire storytelling. When analyzing the log-line and weight of storytelling,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overall subject matter of this work is a story about first love. When analyzing inciting incidents and dramatic circumstances of this work, this study discovered that both the inciting incidents and the related dramatic circumstances mostly occur in the second half of this work, unlike ordinary films. Such a unique way of composing a story also affects the audience's understanding of the story, further resulting in the story about 'the beginning' being outstanding. This work has a structure of a clearly closed ending, but it can be interpreted as an open ending in terms of the audience's desir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production design storytelling such as costumes and colors is used to emphasize what the protagonist wants and longs for, or shows passion. On the other hand, the film sequence in this work may cause a cultural discount phenomenon to the audience.

목차

Ⅰ. 들어가며
Ⅱ. <4월 이야기>의 스토리텔링 분석
Ⅲ. 프로덕션디자인 스토리텔링과 영향을 받은 감독 및 작품들, 영화 속 영화
Ⅳ.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삼력(Sam-Ryeok Kim). (2024).영화 <4월 이야기>의 스토리텔링 연구. 한국과 세계, 6 (4), 31-49

MLA

김삼력(Sam-Ryeok Kim). "영화 <4월 이야기>의 스토리텔링 연구." 한국과 세계, 6.4(2024): 31-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