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기(重記) 자료를 중심으로 본 19세기 조선(朝鮮) 해군(海軍) 전력(戰力)의 일단(一端)
이용수 36
- 영문명
- A clue about the naval power of Joseon in the 19th century based on 'JungGi' data
- 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
- 저자명
- 박진철(Jin-Cheol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세계』제6권 4호, 553~57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세기 근대로 가는 길목에서 조선은 외세의 침입이라는 새로운 시대 상황을 맞게 되었다. 이러한 외압(外壓)에 대응하는 데 가장 근본이 되었던 것이 당시는 수군(水軍)이라 불렸던 조선 해군(海軍)의 군사력이었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19세기 조선 해군 전력의 일단(一端)을 살펴볼 수 있는 실증적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전라좌수영(全羅左水營)에 속해 있던 광양현(光陽縣)과 경상우수영(慶尙右水營)에 속해 있던 하동부(河東府)의 수군 전력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들 두 군현은 19세기 ‘중기(重記)’ 자료가 남아 있다. 중기 자료는 작성 당시 지방 군현의 군비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자료이다. 따라서 이 중기 자료를 중심으로 19세기 조선 해군 전력의 일단을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각종 관찬 자료와 읍지(邑誌), 사례(事例) 등을 비교 검토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19세기 조선 해군 전력의 일단을 확인하였다. 당시 조선 정부는 해양 방위[海防]에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지만 이에 대응한 해군 전력의 향상은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본 연구를 통해 일부 확인되는 것처럼 특히 지방 군현의 수군 전력은 형식적 전력을 유지하는 데 그쳤고, 그 실제는 전력이 약화되고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s an empirical case study, sought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military armaments in the local counties of Joseon in the 19th century. For this purpose, we looked at GwangyangHyeon(光陽縣), a county that was part of the Jeonlajoasuyoung(全羅左水營), and HadongBu(河東府), which was part of the Gyeongsangusuyoung( 慶尙右水營). In particular, these counties and prefectures retained data from the 19th century's “JungGi(Overlap Recording)”. JungGi data is the best data to check the actual status of military equipment in local counties and prefectures. Therefore, we examined some of the naval armaments of local prefectures in the 19th century, focusing on the JungGi, a source that can accurately confirm the status of local prefectures. The study found that the Chosun government has had a significant interest in maritime defense, but the corresponding increase in naval power has not been adequate. This means that the naval power, especially in the local counties and prefectures, was only maintaining its formal power, while its actual power was weakening, as partially confirmed by this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전라좌수영 소속 광양현(光陽縣)의 수군(水軍) 군비(軍備)
Ⅲ. 경상우수영 소속 하동부(河東府)의 수군(水軍) 군비(軍備)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서 그릿과 메타인지의 매개효과
- 동아시아 이주사의 시각으로 본 난수산(蘭秀山)의 난
- 프로이트 정신분석학과 명리학 구조에 관한 연구
- 중국의 대북 딜레마와 새로운 접근 방식
- 한국 사회에서 K-culture의 효과
- 중국 사용자의 AI 한국어 학습 앱 사용의도 연구
- 문화 창업에 있어 예술 후원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 영화 <4월 이야기>의 스토리텔링 연구
- 영화를 매개로 한 노인시민교육 사례연구
- 지역사회 연계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사례 분석
- 사라지는 지역 문화자원으로서 서점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사라지는 지역 문화자원으로서 골목길에 대한 연구
- 유아교사의 그릿과 공감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김소월과 서지마(徐志摩)의 애정시 비교 연구
- 윤동주와 대망서(戴望舒)의 시에 나타난 항일의식 비교 연구
- 중년의 음주와 자살생각의 관계
- ERIS 모델에 따른 기술융합 예술 스타트업의 성공 요인 분석
- 자녀사별 부모를 위한 불교 상담 연구
- 독거노인의 죽음불안에 관한 사례연구
- 중국 무형문화재 AI 스마트 음성 대화 앱의 이용자 사용 행동에 관한 연구
- 중기(重記) 자료를 중심으로 본 19세기 조선(朝鮮) 해군(海軍) 전력(戰力)의 일단(一端)
- 1930년대 북선 여행과 백두산에 대한 인식
- 한국인 원폭 피해 사실의 기억화를 위한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방안
- A study of the American spiritual symbol from the perspective of music sociology : taking “Rhapsody in Blue” as an example
- 일본의 대 동남아시아 원조 정책 전략성 분석
- 반려동물을 상실한 성인을 위한 애도 프로그램 개발
- 북한 관련 법안의 가결 요인
- 한국과 세계 제6권 4호 목차
- 청소년의 성격과 거부민감성 간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 대인관계 효율성을 매개효과로 한 요양보호사의 사회적 인식이 업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해석적 현상학 측면에서 본 한국요양보호사 절대다수가 고령 여성인 요인 탐구
- 산출지향 접근법(POA)에 기반한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
- 남북간 지적재산권 쟁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