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소월과 서지마(徐志摩)의 애정시 비교 연구
이용수 155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Love Poems by Kim Sowol and Xu Zhimo
- 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
- 저자명
- 등아현(Ahyeon Teung) 김보현(Bohyun Kim) 김영미(Youngmi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세계』제6권 4호, 237~25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김소월과 서지마의 애정시가 한국과 중국의 근대 문학사에서 서구 문화와의 충돌과 융합을 통해 독특한 질서를 형성하며 중요한 문학 형식으로 자리 잡았음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사랑, 이별 등의 감정 표현이 시 창작의 핵심이 되었음을 고찰하였다. 김소월과 서지마의 시는 사랑과 이별의 감정을 담고 있으며, 후기 낭만주의의 서정적인 감정 표현을 보여준다. 그러한 양상을 보여주는 대표적 시집으로는 김소월의 『진달래꽃』과 서지마의 『지마의 시(志摩的詩)』가 있다. 두 시집에 담긴 작품들은 자연과 일상생활을 배경으로 진실하고 깊은 사랑을 표현한다. 비록 두 시인이 서로 다른 국가에서 활동했지만, 그들의 시에는 많은 유사점이 존재한다. 두 시인은 혼란스러운 시대 속에서 창작 활동을 하였으며, 사랑과 자유라는 주제에 천착했다. 또한, 개인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동시에 사회와 문화적 배경을 반영하였다. 본 연구는 김소월과 서지마의 애정시를 비교 분석하여 두 시인의 사랑 표현 방식에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탐구하고, 그것은 그들의 작품과 그 배경에 있는 사회 문화적 요소들을 더욱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필요한 통찰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s the love poems of Kim Sowol and Xu Zhimo, highlighting the crucial role of poetry and emotional expression in modern Korean and Chinese literary histories. Both poets, emblematic of their respective literatures, integrated Western influences to craft a unique poetic order. Emotional expression is central to their work, reflecting deep cultural and personal themes. Kim Sowol's “Azaleas” captures the emotions of love and separation with lyrical Romanticism, while Xu Zhimo's “Zhimo's Poems,” including “Love's Death,” conveys sincere love set against nature and daily life. Despite different national contexts, both poets shared a focus on love, freedom, and personal emotion amidst social upheaval. This study explores their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emphasizing the unique significance of love poetry in their literary contributions.
목차
Ⅰ. 서론
Ⅱ. 서지마의 애정시
Ⅲ. 김소월의 애정시
Ⅳ. 김소월과 서지마의 시적 특성 비교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서 그릿과 메타인지의 매개효과
- 동아시아 이주사의 시각으로 본 난수산(蘭秀山)의 난
- 프로이트 정신분석학과 명리학 구조에 관한 연구
- 중국의 대북 딜레마와 새로운 접근 방식
- 한국 사회에서 K-culture의 효과
- 중국 사용자의 AI 한국어 학습 앱 사용의도 연구
- 문화 창업에 있어 예술 후원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 영화 <4월 이야기>의 스토리텔링 연구
- 영화를 매개로 한 노인시민교육 사례연구
- 지역사회 연계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사례 분석
- 사라지는 지역 문화자원으로서 서점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사라지는 지역 문화자원으로서 골목길에 대한 연구
- 유아교사의 그릿과 공감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김소월과 서지마(徐志摩)의 애정시 비교 연구
- 윤동주와 대망서(戴望舒)의 시에 나타난 항일의식 비교 연구
- 중년의 음주와 자살생각의 관계
- ERIS 모델에 따른 기술융합 예술 스타트업의 성공 요인 분석
- 자녀사별 부모를 위한 불교 상담 연구
- 독거노인의 죽음불안에 관한 사례연구
- 중국 무형문화재 AI 스마트 음성 대화 앱의 이용자 사용 행동에 관한 연구
- 중기(重記) 자료를 중심으로 본 19세기 조선(朝鮮) 해군(海軍) 전력(戰力)의 일단(一端)
- 1930년대 북선 여행과 백두산에 대한 인식
- 한국인 원폭 피해 사실의 기억화를 위한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방안
- A study of the American spiritual symbol from the perspective of music sociology : taking “Rhapsody in Blue” as an example
- 일본의 대 동남아시아 원조 정책 전략성 분석
- 반려동물을 상실한 성인을 위한 애도 프로그램 개발
- 북한 관련 법안의 가결 요인
- 한국과 세계 제6권 4호 목차
- 청소년의 성격과 거부민감성 간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 대인관계 효율성을 매개효과로 한 요양보호사의 사회적 인식이 업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해석적 현상학 측면에서 본 한국요양보호사 절대다수가 고령 여성인 요인 탐구
- 산출지향 접근법(POA)에 기반한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
- 남북간 지적재산권 쟁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