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사회에서 K-culture의 효과

이용수 134

영문명
The Effects of K-Culture in Korean Society
발행기관
한국국회학회
저자명
정태일(Tae-Il Chung) 연정례(Jeong-Lye Yeon)
간행물 정보
『한국과 세계』제6권 4호, 5~3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7.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대중문화가 해외에서 한류를 넘어 K-컬처로 인식되는 상황에서 해외의 K-컬처 효과가 한국 내에서는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해외에서 한국의 대중문화는 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한류로 시작해 글로벌 한류로 성장하였으며, 더 나아가 세계 속의 K-컬처, K-콘텐츠로 발전하였다. 해외에서 시작된 K-컬처 효과는 국내에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첫째, 한국의 대중문화를 K-컬처로 성장시키는 데 공헌한 K-드라마와 K-팝 등은 한국의 대중문화를 비롯해 한국과 관련된 모든 분야에서 K-접두어 현상이 나타나도록 하였다. 둘째, 민간 차원에서 한국의 대중문화를 K-컬처로 성장시켰다면, 정부는 국가 예산을 투입해 K-컬처를 K-콘텐츠로 확장해 국가전략산업으로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셋째, 지방자치단체, 정부 기관 등은 K-컬처를 활용한 박람회, 관광상품, 제품개발 등을 통해 성장 도구로 K-컬처를 활용하였다. 결국 국내외에서 커다란 영향을 행사하는 K-컬처가 한국 사회에서 다양한 성장동력으로 활용되는 것은 좋지만 K-컬처의 무차별적인 활용은 경계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how the K-culture effect of foreign countries is utilized in Korea in a situation where Korean popular culture is recognized as K-culture beyond Korean Wave in foreign countries. Form Overseas, Korean popular culture started as the Korean Wave centered in Asia, grew into the global Korean Wave, and further developed into global K-culture and K-content. The K-culture effect that began overseas has been utilized in various fields in Korea. First, K-drama and K-pop, which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Korean popular culture into K-culture, made K-prefix phenomena appear in all fields related to Korea including Korean popular culture. Second, if Korea's popular culture has grown from the private level to K-culture, the government will actively invest the national budget in K-culture to grow K-content into a national strategic industry. Third, local governments and government agencies are using K-culture as a growth strategy through expos, tourism products, and product development using K-culture. In the end, it is good that K-culture, which has a great influence both at home and abroad, is used as a variety of growth engines in Korea, but it is necessary to be wary of short-sighted use of K-culture.

목차

Ⅰ. 서론
Ⅱ. K-culture 현상에 대한 인식
Ⅲ. 한국 내에서 K-culture의 효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태일(Tae-Il Chung),연정례(Jeong-Lye Yeon). (2024).한국 사회에서 K-culture의 효과. 한국과 세계, 6 (4), 5-30

MLA

정태일(Tae-Il Chung),연정례(Jeong-Lye Yeon). "한국 사회에서 K-culture의 효과." 한국과 세계, 6.4(2024): 5-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