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서 그릿과 메타인지의 매개효과

이용수 49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s of Grit and Meta Cognition o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Korean Nursing Students
발행기관
한국국회학회
저자명
김주연(Juyeun Kim)
간행물 정보
『한국과 세계』제6권 4호, 341~36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7.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와 그릿, 메타인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서 그릿과 메타인지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24년 4월 1일부터 4월5일까지 경북지역의 일개 간호대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병렬다중 매개효과의 검증을 위해서 PROCESS Macro의 4번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스트레스와 그릿(r=-. 313, p<.001), 메타인지(r=-.303, p<.001), 학업성취도(r=-.378, p<.001)는 부적의 상관관계에 있었고, 학업성취도와 그릿(r=.289, p<.001), 메타인지(r=.244, p<.001)는 정적인 상관관계에 있으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리고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서 그릿의 부분매개 효과(B=-0.03 CI[-0.06~-0.01])가 확인되었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22.5%였다(F=13.99. p<.001).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를 줄이고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서는 그릿을 강화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그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stress, metacognition, gri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nursing students. Additionally, we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metacognition and g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214 nursing students in the Gyeongbuk region of South Korea through an online survey conducted from April 1st to April 5th, 2024.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and Pearson’s coefficien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PROCESS Macro’s Model 4 was employed to test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on eff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academic stress and grit (r=-.313, p<.001), metacognition (r=- .303, p<.001), and academic achievement (r=-.378, p<.001) were negatively correlated, while grit (r=.289, p<.001) and metacognition (r=.244, p<.001)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g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confirmed (B =-0.03, 95%CI [-0.06, -0.01]).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22.5% (F=13.99, p<.001). To enhance academic achievement and reduce academic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it is essential to develop various programs that strengthen grit and investigate their effectiven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주연(Juyeun Kim). (2024).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서 그릿과 메타인지의 매개효과. 한국과 세계, 6 (4), 341-366

MLA

김주연(Juyeun Kim).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서 그릿과 메타인지의 매개효과." 한국과 세계, 6.4(2024): 341-3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