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의 생애주기별 보호자 지원 목록 탐색
이용수 295
- 영문명
- A Support List for Caregiver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by Life Cycle
- 발행기관
-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미숙(Misuk Lee)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논집』제29권 제2호, 183~20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의 생애주기별 특성에 기반한 장애인 보호자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 초점을 두어 장애인의 생애주기별 보호자 지원 목록을 구성하였다. 연구방법: 장애인 보호자를 위한 지원 목록 구성을 위해 장애인 보호자 지원 관련 법령, 장애인 및 장애인 보호자 지원에 대한 정책 및 제도, 장애인 보호자 관련 정책연구 보고서, 장애인 보호자 지원 관련 학술지 논문 등을 수집하여 체계적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장애인의 생애주기별 보호자 지원은 영유아기, 아동·청소년기, 전환기, 성인기로 나누어 제시되었다. 각 생애주기의 구분과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필요한 지원 내용은 공통으로 구성하고, 특정 생애주기에 제공되어야 할 지원의 내용은 생애주기별로 구분함으로써, 공통 및 특정 생애주기를 모두 고려한 장애인 보호자 지원 목록이 구성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기, 아동·청소년기, 전환기, 성인기의 각 생애주기에 대한 지원 영역을 교육적 지원, 심리·정서적 지원, 의료적·법적 지원, 일상 및 사회활동 지원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첫째, 영유아기 장애인 보호자를 위한 지원은 장애영유아의 발달 및 장애영유아와 관련된 사회적 정보에 대한 이해, 보호자로서의 역량 강화 및 장애영유아를 위한 교육적 지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청소년기는 학교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만큼 아동·청소년기의 특성에 적합한 교육 내용인 도전적 행동 중재 교육, 특수교육 교육과정 교육, 성교육, 사춘기 시기 대처 방안 교육, 장애학생 진로 및 직업 관련 교육, 보호자 미래설계 교육 등이 지원 목록에 포함되었다. 셋째, 전환기 장애인의 보호자를 위한 지원은 전환기 장애인이 아동·청소년기를 거쳐 성인기로 전환하며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영역인 자립을 위한 지원 내용이 다수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성인기 장애인 보호자 지원에 대한 요구는 영유아기, 아동·청소년기 장애인 보호자의 지원 요구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장애인의 주거 정보에 대한 교육, 성년후견인제도, 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 보호자 대상 노후 설계 지원 등이 목록으로 제시되었다. 결론: 장애인 보호자의 지원 요구가 장애인의 전 생애주기에 걸쳐 충족될 수 있도록 생애주기별 지원 목록에 따른 지원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organized a list of support for guardian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by life cycle, focusing on the fact that support for guardian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ife cycle. Method: Related data such as laws, policies and systems related to support for guardian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policy research reports published by government departments were reviewed and analyzed. Results: First, support for guardian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by life cycle was presented by dividing them into infancy, child/adolescence, transition period, and adulthood. Second, regardless of the division of each life cycle, the content of support commonly required is organized in common, and the content of support to be provided in a specific life cycle is classified by life cycl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ontinuing support for guardian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considering both common and specific life cycles. Third, in this study, the areas of support for each life cycle of infants and toddlers, children and adolescents, transition period, and adulthood were divided into educational support,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medical and legal support, and daily and social activity support. Conclusion: A support system for guardians with disabilities that meets the individual needs of the entire life cycl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established by expanding support services for guardians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