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립유치원 특수교사의 방과후 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 및 어려움과 지원 요구

이용수 198

영문명
Perception, Challenges, and Support Needs in Operating After-school Programs by Public Kindergart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 Focused on the Gyeonggi Province Region
발행기관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저자명
이진주(JinJoo Lee) 노진아(Jina Noh)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논집』제29권 제2호, 37~6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에서는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방과후 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운영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 질 높은 방과후 과정 운영을 위한 지원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경기도 공립유치원 특수학급에서 근무하며 방과후 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8명의 유아특수교사와 개별 면담을 실시하고, 연속적 비교법을 통해 면담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참여자들은 유아특수 방과후 과정이 특수교육대상유아의 일반 방과후 참여 문제를 해결하고, 기본 생활습관 유지 및 문제행동 지도, 맞벌이 및 다양한 형태의 가정의 부담 완화에 필수적이라고 인식하였다. 둘째, 참여자들은 방과후 과정을 운영하면서 행정적 어려움, 강사의 전문성 부족, 재정 및 인적 자원 확보의 어려움, 그리고 학부모의 민원과 요구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참여자들은 방과후 과정 운영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상세한 매뉴얼 및 업무 지침 제공, 강사 자격 요건 강화, 관련 연수의 의무화, 적절한 예산 지원, 충분한 지원 인력의 배치, 그리고 운영 유치원의 확대를 포함한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결론: 이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해 방과후 과정을 운영하는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운영의 필요성과 어려움을 파악하고, 이 과정을 내실 있게 운영하기 위한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plored how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manage after-school programs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focusing on their perceptions, challenges, and support needs. Method: For this purpose,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manage after-school programs in public kindergartens in Gyeonggi Province.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Results: Firstly,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the special needs after-school program is essential for resolving the participation issues of special needs children in regular after-school activities, maintaining basic life habits, guiding problematic behaviors, and alleviating the burdens on dual-income, multi-child families. Secondly,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administering after-school programs, lack of instructor expertise, difficulties in securing financial and human resources, and demands and complaints from parents. Thirdly, to address these challenges, participants suggested providing detailed manuals, strengthening instructor qualifications, requiring training, ensuring budget support, deploying enough staff, and expanding the number of participating kindergartens.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identifying the challeng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after-school programs and proposing support strategies for effective manage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진주(JinJoo Lee),노진아(Jina Noh). (2024).공립유치원 특수교사의 방과후 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 및 어려움과 지원 요구. 특수교육논집, 29 (2), 37-63

MLA

이진주(JinJoo Lee),노진아(Jina Noh). "공립유치원 특수교사의 방과후 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 및 어려움과 지원 요구." 특수교육논집, 29.2(2024): 37-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