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조기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이용수 172

영문명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arly Diagnosis Assessment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Focusing on FGI
발행기관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저자명
최진혁(Jin Hyeok Choi) 김민영(Min-yeong Kim)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논집』제29권 제2호, 65~8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해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조기진단을 위한 도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수교육, 정신의학과 전문의 등 전문가 대상의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조기에 진단하기 위해 중요 요소 및 개발의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진단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1)ASD를 위한 조기진단도구의 활용실태 및 제한점으로는 ①진단결과의 연계 및 누적의 어려움, ②진단결과의 접근의 어려움이 도출되었고, 2)온라인 평가 기반 평가도구에 대해서는 ①온라인 기반 평가도구의 유용성 ②평가결과의 활용방안에 대한 핵심내용들이 분석되었다. 추가적으로 3)진단도구의 지원프로파일의 연계에 대해서는 ①개발방향, ②진단도구와 지원프로파일에서의 활용방안에 대한 핵심 내용들이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확인된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위한 조기진단도구의 방향성과 중요요소를 기반으로, 향후 연구의 개발방향 및 시사점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ool for early diagnosi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experts composed of special education and psychiatry specialists were interviewed. Through this, important factors and directions for development were set up to diagnose autism spectrum disorder early. Results: As a result of focus group interviews with diagnostic experts, 1) the utilization status and limitations of early diagnosis tools for ASD were ① difficulties in linking and accumulating diagnosis results, ② difficulties in accessing diagnosis results; 2) Regarding the online evaluation-based evaluation tool, the key contents of ① the usefulness of the online-based evaluation tool and ② how to utilize the evaluation results were analyzed. Additionally, 3) regard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diagnostic tool and the support profile, the key contents of ① development direction and ② utilization plan of the diagnostic tool and support profile were analyzed. The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early diagnosis tool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usefulness and utilization plan of online evaluation,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utilization plan of diagnostic tools. Conclusion: Based on the direction and important factors of early diagnosis tool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identified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present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진혁(Jin Hyeok Choi),김민영(Min-yeong Kim). (2024).자폐스펙트럼장애의 조기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특수교육논집, 29 (2), 65-81

MLA

최진혁(Jin Hyeok Choi),김민영(Min-yeong Kim).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조기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특수교육논집, 29.2(2024): 65-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