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적장애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을 위한 성 인권 교육 수업에서 얻게 된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
이용수 249
- 영문명
- Practical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gained from sexual human rights education classes for students with IDD in a special school majoring course
- 발행기관
-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영주(Yeong-ju Kim) 임경원(Kyoung-won Lim)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논집』제29권 제2호, 1~35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을 위한 성 인권 교육 수업에서 얻게 된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실행연구방법을 적용하였고, 연구자 1명, 수업관찰자 4명, 지적장애 전공과 학생 5명, 성교육 전문가 1명이 참여하였다. 총 5차시의 수업 실행 과정에서 수집된 자료를 포괄적 분석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기본 권리로서의 성 인권 교육’, ‘사회생활을 준비하는 성 인권 교육’, ‘성 인권 교육을 위한 협력’, ‘특수교사의 성 인권 교육 톺아보기’ 4개의 상위범주와 12개의 하위범주, 38개의 의미 단위를 구성하였다. 결론 및 제언: 이 연구를 통해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성 인권적 접근, 성인인 전공과 학생에게 맞는 교육, 성교육 전문가, 특수교사, 학부모 간의 협력이 필요하며, 특수교사를 위한 보다 전문적인 연수와 현장 지원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장애학생의 성 인권 교육을 위한 다양한 실행 연구 및 학교·가정 간 연계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actical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cquired in sexual rights education lesson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 special school majoring course. Method: This study applied an action research method, involving one researcher, four classroom observers, fiv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 special school majoring course, and one sex education specialist. Data collected during a total of 5 lessons were analyzed using a comprehensive analysis procedure.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consisted of 4 main categories, which were 'Sexual rights education as a fundamental right', 'Sexual rights education preparing for social life', 'Collaboration for sexual rights education', and 'Exploring sexual rights education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long with 12 subcategories and 38 meaning units. Conclusion and suggestion: It was identified that a sexual rights-based approach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education tailored to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majoring course, collaboration among sex education specialist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are necessary. Furthermore, it was noted that more specialized training and on-site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important. Additionally, it was suggested that various action research for sexual rights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liaised researches between schools and families are need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