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학교 전학을 고민하는 통합학급 초등 장애학생의 학부모 인식 및 지원요구
이용수 231
- 영문명
- Parent perception and support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integrated class who are considering transferring to special schools
- 발행기관
-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 저자명
- 박체희(Che-Hui Park) 황순영(Soon-Young Hwang)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논집』제29권 제2호, 137~16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학교 전학을 고민하는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그 인식과 지원요구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자녀가 초등학교 통합학급에 재학 중이면서 특수학교 전학을 고민하고 있는 학부모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통합교육에 대한 학부모 인식’, ‘지원인력이 부족한 교육 환경에서 고군분투’, ‘대안으로 선택한 특수학교는 또 다른 선택‘, ’장애학생 교육에서 꼭 필요한 지원‘이라는 4개의 상위 범주와 9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결론: 첫째, 장애 학부모는 현재의 통합교육 장면에서 보다 장애친화적인 학교문화가 조성되기를 희망하였다. 둘째, 장애 학부모는 장애학생의 통합학급 지원하기 위해서 현재보다 인력이 더 확충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셋째, 장애 학부모는 장애학생의 개별적 요구에 적합한 교육 환경 마련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넷째, 장애 자녀의 진정한 교육 실현을 위해서는 꼭 통합교육이 아니라도 학생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특수학교의 수와 정원 확보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support needs of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re concerned about transferring to special schools. Research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parents whose children were enrolled in an elementary school inclusive classroom and were considering transferring to a special school. Finding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4 major categories and 9 subcategories: 'parent awareness of integrated education', 'struggling in an educational environment with insufficient support personnel', 'Special schools as an alternative choice', and 'Essential support in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First,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oped that a more disability-friendly school culture would be created in the current inclusive education scene. Second,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aid that it was necessary to prepare an educational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individual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rd,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expressed the need for more staff to support inclusive classrooms. Fourth, in order to realize the true educ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number and capacity of special schools that can meet the needs of students without necessarily being integra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