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어교육문법 관점의 「のだ」의 지도법
이용수 114
- 영문명
- The Teaching Methods for the Noda-constru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Japanese Pedagogical Grammar: Focussing on Korean Learners of Japanese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최진희(Jin-Hui Choi)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第105輯, 147~16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本研究では日本語教育文法の観点から「のだ」をどのように指導するかについて提案している。韓国人日本語学習者に現れる「のだ」の習得パターンを把握し、日本語を指導する者の「のだ」に対する認識について調査した。それに基づき「のだ」をどのように指導するかについて提言する。韓国人日本語学習者には説明において「のだ」を使用しない誤用が目立っており、 「のだ」を使用するように指導することが重要である。また、日本語教授者側も「のだ」の用法として説明を指導したほうがいいと認識していると確認された。 以上のことから「のだ」の基本的機能は説明であるとし、「のだ」を使用するためには話し手の意図が前提されており、単純な質問に対する返答·意思の表示が説明ではないということを明確に理解させる必要がある。そして、「のだ」の機能を指導する際、まず説明を導入する。次に前置きについては本題に入る前に言及する「導入の説明」とし、学習者にはいくつかの用語を使うことなく、説明と指導したほうが適切であろう。そして、動詞+ 「のだ」を導入し、定着させることが重要であり、このようにわかりやすく指導することで韓国人日本語学習者が実際「のだ」を使用するようになると考えられる。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 propose the teaching methods for the noda-construction for Korean learners of Japanese from the perspective of Japanese Pedagogical Grammar. The present study specifically reveals the patterns of how Korean learners acquire the noda-construction and surveys the teachers’ recognition of the construction. Based on them, I propose the methods for teaching the noda-construction. What is remarkable about Korean learners of Japanese is the tendency that noda is underused to formulate an explanation. The teachers, therefore, need to encourage them to use noda in such linguistic contexts. The teachers, therefore, need to assume that the basic function of noda is concerned with ‘explanation’ and ensure to the learners that the use of noda presupposes a speaker’s intention and that an answer to a simple question or the expression of one’s intention should not be seen as an explanation. Further, the teaching of noda must start with its explanatory function. Then, even in the case of the ‘prefacing’ function of noda, the teachers should explain to the learners that a preface can be viewed as ‘a preparatory explanation’ before a main theme, without using additional terminology other than ‘explanation’. Finally, the teachers introduce the sequence of Verb + noda, encouraging the learners to employ the expression. This gradual step of teaching will lead Korean learners of Japanese to understand the usage of noda and acquire the expression in actual contexts.
목차
1. 들어가며
2. 선행연구 검토
3. 일본어 교수자의 「のだ」 지도 현황에 관한 조사
4. 「のだ」의 지도에 대한 조사 결과
5. 나가며
参考文献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대도시의 일본어 간판언어에 나타나는 언어경관
- 日本國定期 國語科敎科書 『高等小學讀本』의 일고찰
- JFL한국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추량표현 「そうだ·ようだ·みたいだ·らしい」의 교재 분석 연구
- 江戸時代後期人情本における混種語の造語の様相
- 「웃음 발생」에 대한 언어사회학적 고찰
- 관동대지진과 기쿠치 칸(菊池寛)
- 日本語有生主語中間構文と受影受動構文の比較分析
-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聞き取り能力に関する考察
- 모노가타리 그림을 활용한 문학교육
- 사이죠 야소(西条八十)의 <시와 음악 여행 (詩と音楽の旅)> 고찰
- 일본 돌봄 소설과 정동적 불평등 문제
- 일본어교육문법 관점의 「のだ」의 지도법
- 1910년대 일본어 아동문예물 형성과 재조일본인 사회 형성 초기 아동교육
- 소세키와 하루키와 고양이 털색
- 共通テスト日本史Bの古代史に見る木簡
- 이부세 마스지 작품에 나타난 전시 이문화 체험의 의미
- 근대 전시 음악에 나타난 ‘전쟁’의 양상과 이데올로기적 함의
- 2010년대 영화에 나타난 쇼와 천황(昭和天皇)상(像)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