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집중적 상호작용 중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이용수 57
- 영문명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Intensive Interaction : Focusing on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or Severe Autism Spectrum Disorder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송만호(Man Ho Song)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7권 제2호, 207~22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2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중도 지적장애 및 중도 자폐성장애 학생을 위한 집중적 상호작용 중재의 연구동향과 중재의 효과 그리고 관련인의 인식을 조사하여 집중적 상호작용 중재의 시사점을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1988년 이후 중도 지적장애 및 중도 자폐성장애를 대상으로 한 집중적 상호작용 중재 관련 연구 28편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동향 분석 결과 집중적 상호작용 중재는 다양한 연구방법으로 다양한 실무자에 의해 다양한 장애유형과 연령을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집중적 상호작용 중재의 효과와 관련해서는의사소통 상호작용의 증가, 의사소통 행동 목록의 증가가 주요 결과로 나타났다. 실무자의 인식과 관련해서는집중적 상호작용 중재의 적용 현실과 실무자들의 긍정적 인식 그리고 집중적 상호작용 중재의 한계가 주요 결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도 지적장애 및 중도 자폐성장애 학생을 위한 집중적 상호작용 중재의 유용성과 국내 특수학교(급) 등의 다양한 현장에 대한 적용 가능성과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Intensive Interac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or severe autism spectrum disorders by investigating the research trends,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and practitioners’ perceptions of Intensive Interaction.
Method: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8 studies published since 1988 on Intensive Interac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or severe autism spectrum disorders were systematically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of research trend analysis, Intensive Interaction was continuously being studied by various practitioners using various research methodology, targeting various types of disabilities and age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nsive Interaction, the main results were an increase in communicative interaction and the increase in the communicative behaviors means. Regarding the perceptions of Intensive Interaction practitioners, the main results were the reality of application of Intensive Interaction, positive perceptions of Intensive Interaction, and limitations of Intensive Interact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usefulness of Intensive Interac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or severe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the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applying it to special education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액션러닝을 활용한 부모교육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참역량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장애로 인한 차별이 후천적 지체장애인의 일상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뇌성/피질시각장애를 지닌 중도중복장애아동 부모의 양육경험과 특수교육 지원요구 탐색
- 음악치료와 물리치료 간 협업 그룹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하지 운동기술과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효과
- 자해행동을 보이는 최중증 발달장애인의 비대면 기반 행동중재 사례연구
- 건강장애학생의 교육지원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근이영양증 대학생의 생애사 연구
-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참여 경험 및 발전 방안 탐색 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67권 제2호 목차
- 일반학교에서 근무하는 지체장애 교원의 교직 수행 경험
-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과 대인관계 및 직업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집중적 상호작용 중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수용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