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학교에서 근무하는 지체장애 교원의 교직 수행 경험
이용수 62
- 영문명
- Teaching Experiences of Teach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General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염인정(In-jeong Yeom) 황순영(Soon-youn Hwang) 오민화(Min-Hwae Oh)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7권 제2호, 125~13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2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반학교에서 근무하는 지체장애 교원의 교직 수행 경험을 심층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지체장애 교원들의 교직 생활 적응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일반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지체장애 교원 5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개방형 질문지를 사용하여포커스그룹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에 따라 분석 과정을 거쳐 4개의 상위범주, 10개의 하위 범주, 19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근무 환경 경험’에서는 지체장애 교원을 고려하지 않은 물리적 환경과 여러 요인에 의해 좌우되는 일관성 없는 지원 상황, 학교 현장과는 맞지 않는 지원 인력 제도 등은 여전히 커다란 장벽이지만, 과거와비교해 개선 요구를 경청하고 피드백이 이루어지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생 지도 경험’에서는 교수·학습지도나 생활지도 시 지체장애로 인한 여러 가지 제약과 한계에 직면해 있었고,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장애를 보완할 방안을 모색하는 등 전문성 신장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었다. 셋째, ‘업무 수행 경험’에서는 담임 및 행정 업무 수행에 대한 주변의 불신과 배척으로 인해 불합리한 상황을 겪고 있었지만, 개인의 노력과 주변의 지원으로 주어진 업무를 감당하며 다양한 업무 수행에 대한 각오도 드러내었다. 넷째, ‘대인관계 경험’에서는 일부 학교 구성원들의 잘못된 인식과 장애로 인한 제약으로 관계 형성에 있어 회의감 및 소외감을 느끼기도 하였고, 반대로 학교 구성원들의 존중과 배려에 감사함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지체장애 교원들은 학교 구성원들과의 신뢰 관계 구축을 위해 적극적인 소통과 원만한 관계 유지에 힘썼고, 장애를 걸림돌이아닌 강점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지체장애 교원들은 교직 수행에 있어 장애로 인한 한계에 부딪히고,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다양한 경험을 하였으나 학교 구성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교육자로서 전문성 신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따라서이러한 장애 교원의 교직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실효성 있는 장애 교원 지원 시스템이 구축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a reference to assist teach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better adapting to their teaching profession by exploring their teaching experiences in general schools.
Metho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five teach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ho held primary and secondary teaching certificates and were working in general schools. This interview utilized a semi-structured open-end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method.
Results: First, despite various barriers like physical disabilities and inconsistent support, teach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have reported receiving positive feedback regarding their demands for improvements in their physical environment, compared to the past. Second, they've faced challenges in teaching due to their disabilities but worked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ism. Third, even with distrust and exclusion, they worked hard, valued respect, and sought active communication.
Conclusion: Teach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encounter challenges due to their conditions but remain committed to professional growth through active communication with school members.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efficient support system for these teachers, considering their experienc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액션러닝을 활용한 부모교육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참역량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장애로 인한 차별이 후천적 지체장애인의 일상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뇌성/피질시각장애를 지닌 중도중복장애아동 부모의 양육경험과 특수교육 지원요구 탐색
- 음악치료와 물리치료 간 협업 그룹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하지 운동기술과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효과
- 자해행동을 보이는 최중증 발달장애인의 비대면 기반 행동중재 사례연구
- 건강장애학생의 교육지원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근이영양증 대학생의 생애사 연구
-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참여 경험 및 발전 방안 탐색 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67권 제2호 목차
- 일반학교에서 근무하는 지체장애 교원의 교직 수행 경험
-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과 대인관계 및 직업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집중적 상호작용 중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수용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