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근이영양증 대학생의 생애사 연구
이용수 82
- 영문명
- A Study on the Life History of A College Students with Muscle Dystrophy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유장군(Jang-Kun Yoo) 최현석(Hyun-Suk Choi)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7권 제2호, 109~12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2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근이영양증 대학생의 생애를 조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수집 자료는 Mandelbaum(1983)이 제안한 삶의 영역, 전환, 적응이라는 틀에 기초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삶의 영역의 차원에서는 연구참여자가 헌신적인 부모의 양육으로 성장하였으며, 장애에 대한부정적 생각은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환 차원에서 연구참여자는 윤리 교사와의 만남과 인간적 교류로교사라는 진로를 결정하였으며, 삶을 포기하고 싶은 순간이 있었으나, 부모 및 또래의 지지로 역경을 극복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적응의 차원에서는 연구참여자가 행복, 긍정적인 자세, 그리고 가족 및 친구를 삶의 중요한 가치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및 논의: 이 연구에서는 부모, 또래, 그리고 교사의 관심과 지지는 근이영양증 학생의 삶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hed light on the life of college student with muscular dystrophy.
Metho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framework of life domains, transitions, and adaptation proposed by Mandelbaum (1983).
Results: First, in domains, it was found that the study participant grew up with devoted parenting and did not have negative thoughts about their disability. Second, in transitions, it was found that the study participant's meeting with an ethics teacher as well as human interaction served as major opportunities for career decision-making, and that although there were moments when he wanted to give up on life, he overcame adversity with the support of his parents and peers. Third, in adaptation, the research participant recognized happiness, positive attitude, and family and friends as important values in lif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nterest and support from parents, peers, and teachers can be a positive factor in the lives of students with muscular dystroph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액션러닝을 활용한 부모교육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참역량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장애로 인한 차별이 후천적 지체장애인의 일상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뇌성/피질시각장애를 지닌 중도중복장애아동 부모의 양육경험과 특수교육 지원요구 탐색
- 음악치료와 물리치료 간 협업 그룹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하지 운동기술과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효과
- 자해행동을 보이는 최중증 발달장애인의 비대면 기반 행동중재 사례연구
- 건강장애학생의 교육지원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근이영양증 대학생의 생애사 연구
-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참여 경험 및 발전 방안 탐색 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67권 제2호 목차
- 일반학교에서 근무하는 지체장애 교원의 교직 수행 경험
-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과 대인관계 및 직업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집중적 상호작용 중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수용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