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건강장애학생의 교육지원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이용수 123
- 영문명
- Qualitative Meta-Synthesis on Experience with Educational Support for Students with Heal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혜리(Hye-Ri Kim)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7권 제2호, 71~9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2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장애학생 교육지원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지원방안을 모색하는것이다.
연구방법: 질적 메타분석의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총 8편의 질적 연구물을 최종 분석대상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절차에 근거하여 분석대상 논문에서 자료를 추출하였고, 개방형 코딩 방법으로 분석된 자료에서주요 개념과 주제가 범주화되었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로써 7가지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건강장애 특수교육대상자 선정·배치 기준의모호성 둘째, 건강장애 특수교육대상자 선정배치를 위한 관련 개념의 모순된 적용 셋째, 병원학교 운영 및 교육지원 시스템의 개선 사항 넷째, 원격수업기관 운영 시스템 및 교육지원의 질적 내실화 요구 다섯째, 건강장애학생 교육지원을 위한 인력 확충 여섯째, 건강장애학생 학교 복귀 지원 강화 일곱째, 말기 건강장애학생 및 담당교사에 대한 지원 강화
결론: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건강장애학생 교육지원의 질적 내실화를 위한 구체적인 해결과제를 논의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with educational support for students with health disabilities and draw up measures to provide support.
Metho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alitative meta-synthesis and a total of eight qualitative studie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p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procedure of this study, the main concepts and topics were then categorized by analyzing data using an open coding method.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seven major topics were derived. The first was of selection and placement criteria of the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with health disabilities. Second was the contradictory definition of related concepts for selection and placement of the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with health disabilities. The third topic was the improvements of the management and educational support system in hospital schools. The fourth topic was improvements of the management system and demands for quality improvements of educational support in remote teaching institutions. Fifth, The expansion of human resources to suppor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health disabilities. Sixth, strengthening of school reentry support for students with health disabilities. Seventh, Strengthening support for terminally students with health disabilities and a teachers in charg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jor issues and solutions were discus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al support for students with heal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액션러닝을 활용한 부모교육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참역량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장애로 인한 차별이 후천적 지체장애인의 일상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뇌성/피질시각장애를 지닌 중도중복장애아동 부모의 양육경험과 특수교육 지원요구 탐색
- 음악치료와 물리치료 간 협업 그룹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하지 운동기술과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효과
- 자해행동을 보이는 최중증 발달장애인의 비대면 기반 행동중재 사례연구
- 건강장애학생의 교육지원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근이영양증 대학생의 생애사 연구
-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참여 경험 및 발전 방안 탐색 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67권 제2호 목차
- 일반학교에서 근무하는 지체장애 교원의 교직 수행 경험
-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과 대인관계 및 직업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집중적 상호작용 중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수용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