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로 인한 차별이 후천적 지체장애인의 일상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04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of Discrimination on the Daily Life Satisfaction of Individuals with Acquired Physical Disabilitie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신별해(Byeol Hae Shin) 최진혁(Jin Hyeok Choi)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7권 제2호, 93~10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2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로 인한 차별과 후천적 지체장애인의 일상생활의 관계에서 사회적 참여의 조절효과를알아보는 목적을 가진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한국 장애인고용공단의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7차 조사 원자료 중 후천적 지체장애인의 응답을 PROCESS macro 모델1을 사용하여 장애로 인한 차별과 일상생활 관계에 사회적 참여의 조절효과와 Johnson-Neyman으로 조절효과의 유의영역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차별은 후천적 지체장애인의 일상생활 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참여는 이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Johnson-Neyman으로 유의영역을 확인한 결과 사회적 참여 정도의 유의성은 2.5492보다 낮은 영역이었으며, 사회적 참여의 정도가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차별로 인한 일상생활 만족이 감소하였다.
결론: 후천적 지체장애인의 사회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한 이동권의 보장, 장애 차별 감소를 위한 장애 이해 교육, 배리어 프리 환경 구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and daily life satisfaction.
Method: This study used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to extract responses of individuals with acquired physical disabilities. PROCESS macro was use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and Johnson-Neyman.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discrimin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daily life satisfaction. Second, social participation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and daily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Johnson-Neyman, the significant area was lower than 2.5492, and groups with lower social participation were impacted more by discrimination compared to those with higher social participation.
Conclusion: A need to guarantee the mobility right to increase the social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acquired physical disabilities,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and construction of a barrier free environment was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액션러닝을 활용한 부모교육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참역량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장애로 인한 차별이 후천적 지체장애인의 일상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뇌성/피질시각장애를 지닌 중도중복장애아동 부모의 양육경험과 특수교육 지원요구 탐색
- 음악치료와 물리치료 간 협업 그룹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하지 운동기술과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효과
- 자해행동을 보이는 최중증 발달장애인의 비대면 기반 행동중재 사례연구
- 건강장애학생의 교육지원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근이영양증 대학생의 생애사 연구
-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참여 경험 및 발전 방안 탐색 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67권 제2호 목차
- 일반학교에서 근무하는 지체장애 교원의 교직 수행 경험
-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과 대인관계 및 직업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집중적 상호작용 중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수용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