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뇌성/피질시각장애를 지닌 중도중복장애아동 부모의 양육경험과 특수교육 지원요구 탐색
이용수 103
- 영문명
-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cluding Cerebral/Cortical Visual Impairment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박진석(Jinseok Park) 박은혜(Eunhye Park) 이영선(Youngsun Lee)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7권 제2호, 39~5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2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뇌성/피질시각장애(Cerebral/Cortical Visual Impairment, CVI)는 안구와 시신경이 아닌 뇌의 시각 정보 처리 기능의 어려움으로 인해 발생하는 시각장애로써, 추정 출현율에 비해 발견 사례가 다른 장애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보고된다. 본 연구는 CVI 학부모의 양육 경험 및 지원 요구에 대하여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특수교육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방법: 연구자는 6명의 연구참여자가 CVI 학부모 온라인 자조 모임에서 월 단위로 작성한 30개의 수기 자료를 수집하였고, 근거이론과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는 장애발견 및 진단의 어려움과 특수교육 진단평가를 수행할 전문인력 및 연계 체계 부족을 경험하였다. 또한 가정과 학교에서 자녀에게 필요한 대체학습자료의 준비와 기능시각 활용 환경 조성 노력을 개인적 차원에서 수행하고 있었다. 자녀의 교육적인 진전을 명시적으로 확인한 구체적인 사례를 양육 성공 경험으로 제시한 반면, 특수교육 차원의 지원 부족과 자녀의 교육적 진전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경우양육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논의 및 제언: 연구결과에 따라 CVI 아동의 발견 및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진단평가 구축, 조기중재 및학령기 특수교육 체계 확립, 전문 특수교육 인력 확보 및 대체학습자료 교육자원의 개발 필요성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CVI 아동 학부모 및 전문가의 경험과 지원 요구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Children with Cerebral/Cortical Visual Impairments (CVI) are underrepresented in Korea’s special education field.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the six parents of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cluding CVI.
Method: The researchers collected writings that six parents shared monthly in an online self-help group. Thirty posts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based on grounded theory.
Findings The participants shared challenges in receiving medical diagnosis, and assessment, which led to difficulties in early intervention and finding professional special education resources. They relied on individual-based efforts both at home and in school settings to address children's visual needs. Successes and challenges in parenting were noted depending on identifying their child’s accomplishments.
Discussion & Suggestion: The researchers discussed the importance of identification and assessment of children with CVI considering their unique visual characteristics. It is recommended that professional experts and adapted learning materials specialized in CVI are needed to provide appropriate special education practices. Additional research using various qualitative methods is needed to further explore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parents and professionals supporting children with CVI.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액션러닝을 활용한 부모교육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참역량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장애로 인한 차별이 후천적 지체장애인의 일상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뇌성/피질시각장애를 지닌 중도중복장애아동 부모의 양육경험과 특수교육 지원요구 탐색
- 음악치료와 물리치료 간 협업 그룹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하지 운동기술과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효과
- 자해행동을 보이는 최중증 발달장애인의 비대면 기반 행동중재 사례연구
- 건강장애학생의 교육지원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근이영양증 대학생의 생애사 연구
-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참여 경험 및 발전 방안 탐색 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67권 제2호 목차
- 일반학교에서 근무하는 지체장애 교원의 교직 수행 경험
-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과 대인관계 및 직업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집중적 상호작용 중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수용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