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과 대인관계 및 직업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04
- 영문명
- The Effects of a Social Skills Teaching Program linked Career and Job Curriculum on Social Skill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Employment Readines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 Special Classroom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이정현(Jung Hyun Lee) 이숙향(Suk-Hyang Lee)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7권 제2호, 137~15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2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을 통해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과 대인관계 및 직업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12명이 참여하여 총 12회기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과 대인관계 및 직업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 기술 검사 총점은 프로그램 참여 전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대인관계변화척도 총점은 프로그램 참여전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에참여한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직업준비검사 총점은 프로그램 참여 전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 및 직업준비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ocial skills teaching program linked to the career and job curriculum for improving the social skill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employment readines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 special classroom.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2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 special classroom. The social skills teaching program linked the career and job curriculum consisted of a total of 12 sessions. One group pretest-postest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sults: First, the total social skills test scor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befo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Second, the total score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scal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total employment readiness test scor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befo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Conclusion: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ocial skills teaching program linked with the career and job curriculu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skills and employment readines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room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액션러닝을 활용한 부모교육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참역량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장애로 인한 차별이 후천적 지체장애인의 일상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뇌성/피질시각장애를 지닌 중도중복장애아동 부모의 양육경험과 특수교육 지원요구 탐색
- 음악치료와 물리치료 간 협업 그룹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하지 운동기술과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효과
- 자해행동을 보이는 최중증 발달장애인의 비대면 기반 행동중재 사례연구
- 건강장애학생의 교육지원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근이영양증 대학생의 생애사 연구
-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참여 경험 및 발전 방안 탐색 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67권 제2호 목차
- 일반학교에서 근무하는 지체장애 교원의 교직 수행 경험
-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과 대인관계 및 직업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집중적 상호작용 중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수용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