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해행동을 보이는 최중증 발달장애인의 비대면 기반 행동중재 사례연구
이용수 84
- 영문명
- A Case Study of Non Face-to-Face Behavioral Intervention for an Individual with Profound Developmental Disability Exhibiting Self-Injurious Behavior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신윤희(Yunhee Shin) 박경옥(Kyoung Ock Park)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7권 제2호, 55~7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2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비대면 기반 행동중재를 통해 최중증 성인발달장애인의 심각한 도전적행동을 줄이고 대체행동을 늘리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D광역시의 성인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최중증 낮지원생활지원센터에 입소한 이용인에게 총 7개월간의 행동중재를 실시하였다. 중재방법은 긍정적 행동지원 개별지원으로 진행되었으며, 자료분석은 표적행동은 사건기록법으로, 대체행동은 수행빈도를 기회빈도로 나누어 백분율화(%)하였다.
연구결과: 비대면 기반 행동중재를 통해 최중증 성인발달장애인의 도전적행동인 자해행동을 줄이는데 효과가있었다. 기초선 평균 12에서 긴급대처와 중재 1, 2단계를 거치면서 0.14로 줄었으며 PND 100%로 나타났다. 대체행동 변화에 있어서는 기초선 평균 0에서 중재평균 획득은 79.4로 PND 100%, 회피는 55.9 PND 73.7% 로 나타났다.
결론: 비대면 기반 행동중재를 통해 최중증 성인발달장애인의 도전적행동인 자해행동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긴급중재와 통제된 환경에서는 상당한 효과가 있었으나, 자연스러운 환경에서는 통제된 환경보다 행동발생 빈도가 조금 높았다. 대체행동에서도 획득기능 ‘주세요’는 큰 변화를 보였으나 회피기능 ‘싫어요’의 의사표현은획득기능의 표현보다는 다소 효과가 낮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non face-to-face behavioral intervention in addressing severely challenging behaviors, particularly self-injurious behaviors, in adults with profou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tudy focused on reducing self-injurious behaviors and increasing alternative behaviors through non face-to-face behavioral intervention, involving on-site practitioners.
Method: The study targeted an adults with a profound developmental disability in D City who was a resident of a supported living support center for individuals with profound disabilities. The study spanned a total of 7 months and employed individualized support us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methods. Data analysis utilized event or frequency recording for target behaviors and calculated percentages for alternative behaviors based on frequency of occurrence.
Results: The non face-to-face behavioral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reducing self-injurious behaviors in adults with profou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baseline mean of 12 decreased to 0.14 after emergency responses and intervention steps 1 and 2, with a 100% Post-Intervention Negative Difference (PND). Regarding changes in alternative behaviors, the baseline mean of 0 increased to an intervention mean of 79.4 with a PND of 100%, while avoidance behaviors showed a PND of 73.7% with a mean of 55.9.
Conclusion: The non face-to-face behavioral intervention proved effective in reducing self-injurious behaviors in an adult with a profound developmental disability. However, while significant effects were observed in emergency interventions and controlled environments, the frequency of behavioral occurrences was slightly higher in natural settings compared to controlled environments. In terms of alternative behaviors, the acquisition function 'please' showed substantial changes, but the expression of the avoidance function 'dislike' exhibited somewhat lower effectiveness compared to the expression of the acquisition fun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액션러닝을 활용한 부모교육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참역량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장애로 인한 차별이 후천적 지체장애인의 일상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뇌성/피질시각장애를 지닌 중도중복장애아동 부모의 양육경험과 특수교육 지원요구 탐색
- 음악치료와 물리치료 간 협업 그룹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하지 운동기술과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효과
- 자해행동을 보이는 최중증 발달장애인의 비대면 기반 행동중재 사례연구
- 건강장애학생의 교육지원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근이영양증 대학생의 생애사 연구
-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참여 경험 및 발전 방안 탐색 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67권 제2호 목차
- 일반학교에서 근무하는 지체장애 교원의 교직 수행 경험
-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과 대인관계 및 직업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집중적 상호작용 중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수용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