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참여 경험 및 발전 방안 탐색 연구
이용수 112
- 영문명
- Research on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Lifelong Learning Citie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Exploration of Development Plan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김원호(Won-Ho Kim) 박지석(JiSeok Park)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7권 제2호, 159~17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2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참여 인력의 경험을 탐색하여 운영 경험에 기반한 발전 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김원호 외(2023)의 연구에서 제시한 것처럼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참여 인력을 기초지자체 담당자, 기관 종사자, 교강사의 3개 집단으로 구분하여 FGI를 실시하였다. 눈덩이 표집을 활용하여 기초지자체 담당자를 통해 기관 종사자와 교강사를 섭외하였으며 결과적으로 기초지자체 담당자 10명, 기관 종사자 6명, 교강사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FGI를 통해 5개의 상위범주와 20개의 하위범주, 106개의 의미단어를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운영 현황, 기관/지자체 담당자의 참여 경험, 교강사의 참여 경험, 평생학습도시의 제도적 제한점,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발전 방안의 참여 경험을 도출하였다.
결론: 장애인 평생학습도시의 참여 경험을 기반으로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 배치, 신규 인프라 구축, 새로운학습자 발굴, 지역 특성화 프로그램 개발의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환류체계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people working to lifelong learning citie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derive development plans based on operational experiences.
Method: As suggested in the study by Kim Won-ho et al. (2023), focus group interviews(FGI) were conducted by dividing the participants into three groups: local government officials, institutional employees, and instructors. Using snowball sampling, institutional workers and instructors were recruited through local government officials. As a result, 10 local government officials, six institutional employees, and eight instructo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Results: Through FGI, five high-level categories, 20 low-level categories, and 106 semantic words were derived. Specifically, the operation status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of agency/local government officials,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of instructors, the institutional limitations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and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of the development plan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derived.
Conclusion: Based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lifelong learning city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 feedback system for the lifelong learning city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proposed by deploying lifelong education expert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building new infrastructure, discovering new learners, and developing local specialized program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액션러닝을 활용한 부모교육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참역량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장애로 인한 차별이 후천적 지체장애인의 일상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뇌성/피질시각장애를 지닌 중도중복장애아동 부모의 양육경험과 특수교육 지원요구 탐색
- 음악치료와 물리치료 간 협업 그룹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하지 운동기술과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효과
- 자해행동을 보이는 최중증 발달장애인의 비대면 기반 행동중재 사례연구
- 건강장애학생의 교육지원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근이영양증 대학생의 생애사 연구
-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참여 경험 및 발전 방안 탐색 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67권 제2호 목차
- 일반학교에서 근무하는 지체장애 교원의 교직 수행 경험
-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과 대인관계 및 직업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집중적 상호작용 중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수용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