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를 받은 갑상선분화암 환자에서 Dual Time I-131 Whole Body Scan을 이용한 유효반감기의 측정
이용수 2
- 영문명
- Measurement of Effective Half-life Using Dual Time I-131 Whole Body Scan in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Treated by High Dose Therapy
- 발행기관
- 대한핵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윤재식(Jae Sik Yoon) 이재곤(Jae Gon Lee) 이기현(Ki Hyun Lee) 임광석(Kwang Seok Lim) 최학기(Hak Ki Choi) 이상미(Sang Mi Lee)
- 간행물 정보
- 『핵의학기술』Vol.18 No.1, 98~103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effective half life of I-131 is useful to calculate radiation dose, period of hospitalization, and exposure dose of surrounding people from patient. However,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is study estimates the effective half life in whole body and thyroid in using of value of residual radioactivity obtained from the early and delay images of Dual time I-131 whole body scan. Also,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effective half life and serum creatinine, GFR, and administration dose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Materials and Methods: The targets were 50 patients administration high dose of I-131 from February to August in 2013, having normal range of serum creatinine and over 30 μIU/mL of TSH levels. After administration radioactive I-131, the early scan in the 3rd day and the delay scan in the 5-6th days were performed. To measure the residual radioactivity in the whole body and thyroid, ROI was set and then background radioactivity was corrected to estimate. The effective half life was estimated by calculating the ratio of measured values between the early and delay images. To compare the effective half lives of the whole body and thyroid, it was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and each correlation of the effective half life, GFR, serum creatinine, and the dose of administration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ll of the analysis were determin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P<0.05. Results: The effective half life of the whole body was 17.06±5.50 hours and of the thyroid was 17.22±5.41 hours. The two effective half lif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P=0.887). As the value of GFR was increased, the effective half life of whole body (r=-0.407, P=0.003) and of thyroid (r=-0.473, P=0.00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value of serum creatinine was increased, the effective half life of whole body (r=0.309, P=0.029) and of thyroid (r=0.371, P=0.008)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administration dose, effective half life did not have correlations. Conclusion: The effective half life of I-131 of patients treated for their thyroids were estimated only by using the images of Dual time I-131 whole body scan. Also, the correlations with the effective life, GFR, and serum creatinine were examined. This study might be utilized for a study on optimization for the period of hospitalization of patients treated by high dose of I-131 and on evaluation for internal absorbed dose of MIRD schema in application of the effective half life.
목차
서론
실험재료 및 방법
결과
결론
요약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ET/CT 검사에서 매개변수 입력오류에 따른 표준섭취계수 평가
- Astonish TF 재구성 기법의 적용을 통한 체적 크기의 변화에 따른 표준섭취계수(SUV)에 관한 고찰
- Anti-ds DNA 항체 검사 시 Lipemic 검체의 영향에 관한 보고
- 두경부암 림프절 전이 평가에서 PET-MRI의 임상적 유용성
- 눈물길 조영검사 시 양측 안 와 사위 상 획득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
- PET/MRI에 있어 MRI 조영제가 PET에 미치는 영향
- PET/CT 저선량 적용 시 CT 감쇠보정법에 따른 피폭선량 저감효과
- 핵의학 영상검사 후 시행된 핵의학 검체검사에서의 영향
- I-131 SPECT/CT 검사의 에서 조준기 종류에 따른 영상 비교 평가
- 방사성요오드 치료 시 완하제 투여 효과
- I-131 SPECT/CT에서 Ringing Artifact 감소를 위한 다양한 Filter값의 적용
- Thyroglobulin 검사 시 재검선별 및 결과보고절차마련
- PET 검사에서 CT 장비의 차이에 따른 PET/CT의 SUV 비교 평가
- PET/CT 검사 시 혈관삽입기구 내 잔여 방사능 위치에 따른 표준섭취계수의 영향 비교 평가
- 핀홀 콜리메이터 초점의 직경 크기 별 성능비교 및 평가
- 심근 관류 스펙트에서 Half-Time Scan과 새로운 재구성법이 적용된 정상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정량적 분석 결과의 차이 비교
- 척추 뼈 SPECT/CT검사에서 경피적 척추성형술 시행 환자의 골 시멘트로 인한 인공물과 CT보정방법의 유용성 평가
- ¹³N-암모니아 심근관류 PET/CT 검사 시 영상 재구성 방법에 따른 관류량 변화와 영상 평가
-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를 받은 갑상선분화암 환자에서 Dual Time I-131 Whole Body Scan을 이용한 유효반감기의 측정
- PET검사 작업환경에 있어서 APRON의 방어에 대한 고찰
- 인증표준물질(CRM)을 이용한 방사면역측정법의 회수율 평가
- ⁹⁰Y SIR-Spheres를 사용한 암의 간 전이치료에서 PET 영상획득에 관한 초기연구
- Adaptive Statistical Iterative Reconstruction 기법을 이용한 Bone SPECT/CT 검사에서 피폭량 감소 방안
- 소아 SPECT/CT 검사를 위한 최저조건에서의 피폭선량측정 및 팬텀의 영상평가
- 유방암 환자 중 유관에서 발병되는 암의 종류(IDC와 DCIS)별 시간경과에 따른 SUVₘₐₓ 변화에 대한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의료용 인공지능에 대한 동향 분석 및 방사선사 인식조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RI 등 사용 허가 대학의 정기 검사 수검 사례: 방사선학과를 대상으로
- 핵의학 갑상샘 팬텀 영상에서 보간법이 초고분해능 ResNet 모델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방사성동위원소(RI) 폐기물 내 Pb-214, Bi-214 화학 분리를 통한 핵종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