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 평생교육 종사자 및 보호자의 장애인 평생교육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
이용수 126
- 영문명
- Perception on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rom Staffs and Caregivers: Focused on Gongju City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한민경(Han, Minkyung) 이미숙(Lee, Misuk)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6권 제1호, 353~37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공주시 장애인들의 평생학습권을 보장하고 양질의 장애인 평생교육 운영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공주시의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해 평생교육기관 종사자와 장애인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공주시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공주시에서 제공된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 경험이 있는 장애인의 보호자와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종사자를 포함하여 총 1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공주시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구성 시, 장애인 학습자 및 가족의 요구를 반영하여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종류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장애인 학습자 중심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장애인 학습자와 보호자의 의견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장애인 평생교육 제공 기관의 양적 확대와 함께 장애인 평생교육 기관을 총괄 관리할 수 있는 지역사회 기반 장애인 평생교육 운영 플랫폼 설치가 필요하다. 논의 및 결론: 장애인 평생교육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는 중장기적인 로드맵 수립이 필수적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research aims to formulate effective strategies for implementing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ailored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Gongju City,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of a community-based lifelong learning environment. Method: A comprehensive survey targeted 106 guardians and management practitioners who possess experience i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Gongju City. Results: The study underscored the importance of customize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at addressed the diverse levels of disability, characteristics, and needs within this population. Moreover, it advocates for the establishment of an operational system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requirements of both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ir guardians during the planning and execution phase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Conclusion: The study also recommends the incorporation of field experience-oriented programs to directly contribute to the independent living and enhanced social adaptability of learners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운동장 개선 사례를 통해 본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터 개선방안 탐색
- 대학생의 ‘경제생활역량’과 영향변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혁신교육공동체 교육과정 체계화를 위한 지역사회 접근 맥락 탐색
- 마을교육공동체 속성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공학교육에서 학습 경험 설계
- 장애인 평생교육 종사자 및 보호자의 장애인 평생교육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
- 대학생을 위한 커리어앵커 창직교육프로그램 모형 설계
- 장애인 평생교육 코디네이터 자격제도 도입에 관한 인식
- 장애대학생이 경험한 교육복지지원 실태 및 개선 요구
-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개념 및 의의 고찰
- 디자인씽킹 기반의 초등학교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 프로토타입 개발
-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 학교와 지역 간 교육협력 방향의 시론적 탐색
-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읽기이해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 디지털 기반 학습 환경에서의 자기조절학습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문항 연구
-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 유형 탐색과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