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 학교와 지역 간 교육협력 방향의 시론적 탐색
이용수 86
- 영문명
- A theoretical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regions focusing on the curriculum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김필성(Kim, Pil-Seong) 유지은(You, Ji-Eun) 조상희(Cho Sang-Hui)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6권 제1호, 91~11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중심으로 학교와 지역의 교육협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시론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학교 안팎의 교육관점의 차이들과 교육과정 중심의 해소 방안을 문헌 분석 중심으로 살펴본다. 연구결과: 학교와 지역 간에는 교육관점의 차이, 학교 중심의 교육과정 배타성과 지역의 소외, 주도성 논의로 인한 교육과정 소통 미흡, 보편교육과 지역특색 교육 간의 차이가 나타나며, 이를 좁히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중심의 학교 안팎의 소통과 학교와 지역이 참여하는 지역형 교육과정 개발, 학교 와 지역이 협력하여 핵심역량 및 성취기준을 해석하고, 이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에 지역사회 자원을 담아내는 노력이 필요하다. 결론 및 제언: 의미 있는 학교 안팎의 교육 연계와 협력을 위해서는 교육과정 중심의 소통을 활성화하고, 성취기준을 협력적으로 해석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seeks to theoretically explore ways to strengthen educational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regions focusing on the curriculum. Method: Differences in educational perspectives inside and outside of schools and solutions centered on curriculum a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Results: There are differences in educational perspectives between schools and regions, school-centered curriculum exclusivity and regional alienation, insufficient curriculum communication due to discussions on leadership, and differences between universal education and regional-specific education. To narrow this, curriculum-centered education is needed. Efforts are needed to communicate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develop a local curriculum in which schools and regions participate, collaborate with schools and regions to interpret core competencies and achievement standards, and incorporate community resources into a curriculum that meets these. Conclusion: For meaningful educational linkage and cooperation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efforts are required to activate curriculum-centered communication, cooperatively interpret achievement standards, and effectively achieve them.
목차
Ⅰ. 서론
Ⅱ. 지역과 함께 하는 교육의 태동
Ⅲ. 학교와 지역 간의 교육관점의 차이
Ⅳ. 교육과정 중심의 학교와 지역의 연계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운동장 개선 사례를 통해 본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터 개선방안 탐색
- 대학생의 ‘경제생활역량’과 영향변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혁신교육공동체 교육과정 체계화를 위한 지역사회 접근 맥락 탐색
- 마을교육공동체 속성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공학교육에서 학습 경험 설계
- 장애인 평생교육 종사자 및 보호자의 장애인 평생교육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
- 대학생을 위한 커리어앵커 창직교육프로그램 모형 설계
- 장애인 평생교육 코디네이터 자격제도 도입에 관한 인식
- 장애대학생이 경험한 교육복지지원 실태 및 개선 요구
-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개념 및 의의 고찰
- 디자인씽킹 기반의 초등학교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 프로토타입 개발
-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 학교와 지역 간 교육협력 방향의 시론적 탐색
-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읽기이해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 디지털 기반 학습 환경에서의 자기조절학습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문항 연구
-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 유형 탐색과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